Instructions for Authors
- Page Path
-
- HOME
- AUTHOR INFORMATION
- Instructions for Authors
* 제정: 1997. 12.
* 개정: 2005. 4.
* 개정: 2006. 4.
* 개정: 2009. 4.
* 개정: 2012. 6.
* 개정: 2014. 5.
* 개정: 2015. 1.
-
1. 본지는 응급구조학과 관련된 원저, 종설 및 임상증례 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는 논문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본지는 연 3회 발행되며 발행일은 4월, 8월, 12월 말일로 한다.
- 2. 연구출판윤리:
-
본 투고규정에 기술되지 않은 연구와 출판 윤리에 대한 사항은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의학논문 출판윤리 가이드라인(http://kamje.or.kr/publishing_ethics.html) 또는 Guidelines on Good Publication Practice (http://www.publicationethics.org.uk/guidelines) 또는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ditors and authors (http://publicationethics.org/international-standards-editors-and-authors)를 따른다. (For the policies on the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 not stated in this instructions, 'Good Publication Practice Guidelines for Medical Journals <http://kamje.or.kr/publishing_ethics.html>' or 'Guidelines on good publication <http://www.publicationethics.org.uk/guidelines>' or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ditors and authors (http://publicationethics.org/international-standards-editors-and-authors) can be applied.)
-
3. 투고 자격은 제1저자, 교신저자, 공동저자가 모두 반드시 본 학회의 정관에 따른 정회원 또는 준회원이어야 하며, 당해 연회비(또는 평생회비)를 납부한 자에 한한다. 단, 연회비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납부 후 본지에 투고할 수 있다.
-
4. 다른 학술지에 이미 발표되었던 내용과 동일한 원고는 본지에 게재할 수 없으며, 본지에 게재된 원고는 임의로 타지에 실을 수 없다.
-
5. 논문의 내용이 부적절하거나 투고규정에 위배될 때는 수정을 권유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편집위원회는 필요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편집방침에 따라 임의로 수정할 수 있다.
-
6. 원고는 한국응급구조학회 홈페이지(http://www.kemt.or.kr/)에서 회원 가입 후 온라인투고시스템(http://www.kemt.or.kr/thesis_user/thesis_register.php)에 제출한다.
- 7. 원고 제출시 저자점검표와 논문겉표지를 첨부하고, 5만원의 심사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
- 1) 저자점검표: 원고가 학회지의 투고 규정을 충실히 지켜졌는지 점검하고 확인한 뒤 서명하고 제출해야 한다.
- 2) 논문 겉표지: 심사논문에는 저자명과 소속을 기입하지 않고, 겉표지에 따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 8. 원고작성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 1) 학회지의 논문 원고는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겉표지와 원문을 나누어 작성한다.
A submitter who wants to become a member may access to http://www.kemt.or.kr.
- 2) 국문원고는 「글 2007」이상을, 영문원고는 「글 2007」 또는「MS word」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용지크기는 A4를 사용하고, 여백은 위·아래 15mm, 왼쪽·오른쪽 25mm, 머리말·꼬리말 15mm, 제본 0mm로 하고, 문단모양은 줄 간격 200%로 하며, 장평 100%, 자간 0mm로 작성하며, 쪽번호(가운데 아래)를 매긴다.
- 2) 국문원고는 「글 2007」이상을, 영문원고는 「글 2007」 또는「MS word」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용지크기는 A4를 사용하고, 여백은 위·아래 15mm, 왼쪽·오른쪽 25mm, 머리말·꼬리말 15mm, 제본 0mm로 하고, 문단모양은 줄 간격 200%로 하며, 장평 100%, 자간 0mm로 작성하며, 쪽번호(가운데 아래)를 매긴다.
- 3) 원문의 작성방식은 다음과 같다.
- ① 논문제목은 크기 15포인트, 진하게, 가운데정렬, 신명조체
- ② 대제목 숫자붙이기 Ⅰ., Ⅱ. (유니코드 2161). 크기 14포인트, 진하게, 가운데정렬, 중고딕체
- ③ 중제목 숫자붙이기 1., 2. ... 크기 12포인트, 진하게, 왼쪽정렬, 중고딕체
- ④ 소제목 숫자붙이기 1), 2)... 크기 11포인트, 진하게, 왼쪽정렬, 중고딕체
- ⑤ 그 이하 제목 숫자붙이기 (1), (2) ... 크기 10포인트, 진하게, 왼쪽정렬, 중고딕체
- ⑥ 본문내용은 크기 10포인트, 양쪽정렬, 신명조체
- 4) 학술용어는 최신판 대한의사협회 발행 의학용어집에 수록된 것과 대한의학학술지 편집인 협의회의 의학용어 기준을 준용하며, 적절한 번역어가 없는 의학용어나, 고유명사, 지명, 인명, 약품명, 단위 등은 영자로 직접 표기할 수 있다.
- 5) 번역어가 있으나, 의미전달이 어려운 경우에는 그 용어를 처음 번역할 때 번역어 다음에 괄호 안에 원어로 표기하고 그 후로는 번역어만 사용한다.
- 6) 영문약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처음 사용할 때 풀어쓴 후 괄호 안에 기입한다.
- 7) 숫자는 아라비아숫자, 도량형은 미터법을 사용하고 모든 단위는 국제표준(SI)단위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8) 장비, 시약 및 약품은 괄호 안에 모델명(시약 및 약품의 경우 일반명), 제조회사, 도시 및 국적을 명기한다.
(예) 제세동기 (Heartstart FRx, Laerdal, Stavanger, Norway)
에피네프린 (Epinephrine HCl, Dongkook Pharmaceutical, Seoul, Korea)
- 9. 원고구성은 다음과 같다
-
- 1) 겉표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한다.
- ① 논문제목 ② 원문종류 ③ 모든 저자의 성명, 소속, 직위, 연락처(직장, 휴대폰)
- ④ 교신저자의 성명, 소속, 주소, 전화번호(직장, 휴대폰),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 ⑤ 연구비 수혜여부 ⑥ 학위논문 여부
- 2) 원문에는 ① 논문제목(한글/영문순) ② 영문초록(Abstract) 및 중심단어(Keywords) ③ 본문 ④ 참고문헌(References) ⑤ Table 및 Figure의 순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감사의 글(Acknowledgements)을 삽입할 때는 본문 다음으로 한다.
- 3) 영문초록: 200단어 이내로 하며,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 순으로 구분하며, 각각에 대해 반드시 줄을 바꾸어 기술한다. 단, 증례와 종설은 이 형식을 취하지 않을 수 있다. 중심단어(Keywords)는 영문초록이 끝나는 하단에 5개 이하로 기재하며, MeSH(Medical subject headings)에 공인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MeSH검색: http://www.nlm.nih.gov/mesh/MBrowser.html). 적당한 단어가 없는 최근의 개념이나 용어에 대해서는 저자가 사용한 단어를 제시하여도 된다.
단, 영문으로 작성된 논문에는 영문초록 및 영문중심단어를 작성하고, 국문초록 및 국문 중심단어를 추가로 작성한다. 국문초록의 경우 연구의 목적, 방법, 결과, 결론을 한글 1,000자 이내로 간결하게 작성한다.
- 4) 본문은 다음의 순서로 작성한다.
- (1) 원저: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 순서로 한다.
영어 논문의 경우에는,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순서로 한다.
- (2) 증례: 서론, 증례, 고찰(또는 서론, 연구방법, 증례, 고찰, 결론) 순서로 한다.
- (3) 종설: 서론, 본론, 결론 순서로 한다.
- 5) 감사의 글(Acknowledgements): 필요하면 본 연구를 위하여 도움을 주신 분들을 기록하고 고마움을 표시할 수 있다.
- 6) 참고문헌(References)
- (1)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한글 논문 인용인 경우에도 영문으로 표기).
- (2) 본문에서 인용한 순서대로 아라비아숫자로 대괄호 ‘[ ]’ 속에 넣어 표기하고, 참고문헌 란에 동일한 번호를 붙여 기재한다.
- (3) 참고문헌은 30개 이하로 하고, 학위논문을 인용할 경우 10% 이하로 한다. 단, 종설인 경우는 예외로 한다.
- (4) 저자명은 성 뒤에 생략부호 없이 이름약자(대문자)를 쓴다. 저자가 6인 이하면 전원을 기록하고, 7인 이상일 경우에는 6인 이후에 et al.로 끝을 맺는다.
- (5) 참고문헌이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를 가지고 있으면 맨끝 마침표 다음에 빠짐없이 기재한다.
- (6) 학술지명의 표기는 원칙적으로 ISO의 공인된 약어를 사용한다.
http://www.issn.org/services/online-services/access-to-the-ltwa/?lettre=e&numpage=8&numpagemod=#TabAbrev
http://www.library.illinois.edu/biotech/j-abbrev.html
의학관련 저널인 경우 아래 사이트를 참조한다.
http://www.ncbi.nlm.nih.gov/pubmed
http://www.ncbi.nlm.nih.gov/sites/entrez?db=journals
http://www2.bg.am.poznan.pl/czasopisma/medicus.php?lang=eng
연구재단 등재(후보)지는 아래 사이트를 참조한다.
http://www.koreamed.org/JournalBrowserNew.php
http://journals_beta.koreamed.org/
http://www.komci.org/JournalBrowserNew.php?dg=ALL
KoreaMed나 KoMCI에 색인되어 있지 않은 학술지나 비등재학술지는 그 학술지에서 정한 고유약자를 쓰며 없는 경우에는 학술지명 전체를 기재한다.
(예)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 Korean J Emerg Med Ser
- (7) 참고문헌의 구체적인 표기양식은 다음과 같다.
- ① 학술지: 저자명. 제목. 잡지명 발행연도;권(호):첫쪽-끝쪽. DOI가 있으면 기재
(예) Choi UJ, Cho KJ. A comparis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using the Macintosh laryngoscope, the gum elastic bougie and the pentax airway scope in neck-stabilized manikin.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3):71-80.
(예) Huang SC, Wu ET, Wang CC, Chen YS, Chang CI, Chiu IS et al. Eleven years of experience with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paediatric patients with in-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2012; 83(6):710-4.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12.01.031
(예) Shin DM, Lee CS, Kim SY, Kim CK, Hong EJ, Lee YC et al. Analysis of trunk angle and muscle activation during chest compression in 119 EMTs. Korean J Emerg Med Ser 2014;18(3):7-18. http://dx.doi.org/10.14408/ KJEMS.2014.18.3.007
- ② 저서
- ⅰ) 일반책: 저자명. 저서제목. 판(ed). 발행지: 발행사, 연도. 인용첫쪽-인용끝쪽.
(예) Susi BS. Emergency dispatching a medical communicator's guide. 1st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993. 465-78.
- ⅱ) 일반저서의 장(chapter): 저자명. 장의 제목. In 편집자, 저서제목. 판(ed). 발행지: 발행사, 연도. 인용첫쪽-인용끝쪽.
(예) Phillips SJ, Whisnant JP. Hypertension and stroke. In Laragh JH, Brenner BM (ed.), Hypertension: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New York: Raven Press, 1995. 465-78.
- ⅲ) 번역된 책: 번역저자명, 제목(원저자명), 판(ed). 발행지: 발행사, 연도. 인용첫쪽-인용끝쪽.
(예) Korean Council of Professor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Emergency care (Limmer D, O'Keefe MF). 11th ed. Seoul: Daehakseorim, 2010. 465-78.
(*전국응급구조학과교수협의회 번역 교재의 경우 위와 같은 영문을 사용)
- ③ 학위논문: 저자명. 제목. 학위, 졸업학교 연도, 지역, 국가.
(예) Choi JY. Stochastic scheduling problems for minimizing tardy jobs with application to emergency vehicle dispatching on unreliable road network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12, New York, USA.
(예) Park SM. Influencing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the paramedic students in clinical trai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2, Gongju, Korea.
- ④ 기타 자료
- i) 인터넷자료: 기관명. 자료제목. 홈페이지 주소, 연도.
- 인터넷자료는 원칙적으로 공인기관 자료만 이용할 수 있다.
(예)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ndardization for diagnosis tool of dementia. Available at: http://www.mw.go.kr/front/index.jsp, 2010.
- ⑤ 기타 참고문헌 기술방법은 아래의 website를 참고하여 작성한다.
http://www.nlm.nih.gov/bsd/uniform_requirements.html
- (8) 본문에서 참고문헌 인용
- ① 참고문헌은 순서대로 아라비아숫자로 대괄호 ‘[ ]’ 속에 넣어 표기하며, 번호는 저자의 성 뒤에 기재하여야 하고, 문장의 경우는 마침표 이전에 대괄호 안에 표기한다.
(예) Lim[1]은 --, --이다[2-5].
- ② 참고문헌의 번호가 연속적인 경우, 2개 이하이면 모두 순서대로 표기하여야 하며, 3개 이상인 경우는 “-”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예) ...한다[2,3]. (연속된 2개 이하의 참고문헌의 표기)
...한다[2-6]. (연속된 3개 이상의 참고문헌의 표기)
- ③ 저자가 2명 이하일 때는 저자의 성을 다 쓰며, 3명 이상일 때에는 첫 저자의 성에 “등”을 붙인다.
(예) Uhm[3]은--, Clawson과 James[4]는--, Goldberg 등[5]은--
- 7) Table과 Figure
- (1) Table과 Figure는 각각 본문에서 인용된 순서대로 번호를 달아 영문으로 작성하고, 각각 별지에 작성한다.
- (2) Table의 제목은 구(Phrase)의 형태로 진하게 상단에 왼쪽정렬, 중고딕체로 기술하고, 첫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시작하고 마침표는 찍지 않는다. Figure는 Fig.로 진하게 표시하고 구(Phrase) 또는 절(Paragraph)의 형태로 하단에 왼쪽정렬, 중고딕체로 기술하며, 첫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시작하고 마침표를 찍는다.
(예) Table 1. Initial cardiac rhythm and the presumed cause of cardiac arrest
(예)
Fig. 1. Scatterplot of average between-dose interval relative to the dur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ig. 2. Shaded area indicates the between-dose interval which is currently recommended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 (4) Table이나 Figure에서 약자를 사용할 때는 기호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해당표나 그림의 하단 왼쪽에 풀어서 설명한다.
기호를 사용할 때는 *, †, ‡, §, ‖, ¶, **, ††, ‡‡, §§, ‖‖, ¶¶의 순으로 위첨자로 기재하며, 이를 하단 각주에 설명한다.
(예) *EM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5) 소수점은 그것을 나타내는 숫자값이 ‘1’을 넘을 수 있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고, ‘1’을 넘을 수 없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지 않는다.
(예) t=0.267, F=0.925
(예) p<.001, r=.148, R2=.613
- (6) 유의확률을 나타내는 p값은 각주를 붙이지 않고 값을 그대로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기재하고, p는 이탤릭체로 한다(p=.003). 단, p값을 기술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의확률 수준을 제시하고 각주를 붙일 수 있다.
- (7) Figure는 .jpg 또는 .tif로 저장된 파일(해상도 300dpi 이상)을 첨부하여야 한다. 타 논문의 그림을 인용할 때는 원칙적으로 원저자의 동의를 얻도록 한다.
- (8) 동일 번호에서 여러 장의 사진 또는 그림이 있는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a, b, c 글자를 기입하여 표시한다.
(예) Fig. 1a. --, Fig. 1b. --
-
10. 논문의 심사결과에 따라 저자가 편집위원회의 수정 또는 보완 사항을 수용할 경우, 저자는 수정 또는 보완된 내용을 기술한 답변서와 수정본(수정한 부분은 색을 구별하여 표시)을 학회 홈페이지 온라인 투고시스템에 제출한다.
-
11. 논문의 게재가 확정되었을 때는 소정의 논문게재료(기본 15만원 + 인쇄페이지 당 1만원)를 최종 PDF 파일 교정본을 송부하기 전까지 납부해야 한다. 도안료 및 제판비 그 밖의 특수인쇄에 대한 실비는 저자가 부담한다. 연구비 지원기관을 표기할 경우에는 5만원을 추가로 납부하여야 한다. 기본 배포 별책은 30부이며 추가별책에 대한 비용은 저자가 부담한다. 최종 PDF 파일 교정 원고를 송부시 게재료 납입증명(논문게재료 무통장 입금시 입금증증) 및 저작권이양동의서를 첨부한다.
-
1) 저작권이양동의서: 모든 저자들은 논문의 내용과 원고에 관한 모든 출판 소유권이 한국응급구조학회에 있음을 확인하고 저작권 이양 동의서에 서명한 후 교신저자가 대표로 제출해야 한다.
- 12. 논문심사료 및 논문게재료
-
- 1)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에서 카드결제
- 2) 무통장 입금
우체국: 503359-01-003791 예금주: (사)한국응급구조학회
- 13. 학회지 투고용 논문에 관한 문의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황조길 346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편집위원장 김 지 희
E-mail: kjems119@naver.com
Tel: 033-540-3342
Fax: 033-540-3349
-
14. 기타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
부 칙
1. 이 규정은 (사)한국응급구조학회 이사회의 인준을 받은 날로부터 시행한다.
2. 이 규정은 1997년 12월부터 시행한다.
3. 이 규정은 2005년 4월부터 시행한다.
4. 이 규정은 2006년 4월부터 시행한다.
5. 이 규정은 2009년 4월부터 시행한다.
6. 이 규정은 2012년 6월부터 시행한다.
7. 이 규정은 2014년 5월부터 시행한다.
8. 이 규정은 2015년 1월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