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Emerg Med Ser Search

CLOSE


Korean J Emerg Med Ser > Volume 24(3); 2020 > Article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2차 표준화 연구†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liance with the first standardization of the paramedic curriculum and suggest a second standardization to cultivate competent paramedic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38 curricula, and responses to questionnaires, including those on the current status of prehospital field practice, from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of 36 institution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 and November 30, 2019 via e-mai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4.0 and NVivo 12.0.

Results

Compliance with the first standardization of the paramedic curriculum was over 70% in only 11 on the 26 major subjects. The second standardization of the paramedic curriculum consists of 27 subjects requiring 76~79 credits for the 3-year course and 78~82 credits for the 4-year course.

Conclusion

We suggested a minimum number of essential subjects to cultivate competent paramedics following the second standardization of the paramedic curriculum, and we hope colleges comply with this curriculum. Twenty to twenty-five percent of major subjects can be determined by the discretion of the college to maximize competency of paramedic student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응급구조(학)과는 1995년 2년제 11개 대학에서 설립되어 2001년 1개 대학이 4년제 대학과의 통합으로 4년제로 승격되었으며 2002년에 학제가 2년제에서 3년제로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현재 전국 응급구조(학)과는 3년제 24개 대학, 4년제 17개 대학으로 총 41개의 대학에서 1급 응급구조사를 양성하고 있다[1]. 해마다 1급 응급구조사는 2015년 1327명, 2016년 1371명, 2017년 1544명, 2018년 1554명, 2019년 1512명이 1급 응급구조사 자격을 취득하고 있으며[1], 1급 응급구조사의 국시 합격률은 84.5%~88.3%를 유지하고 있다[2].
교육과정은 교육내용과 관련하여 교과의 배열과 조직을 체계화한 전체적인 계획으로 학교의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교과 학습 및 생활 영역의 총체이다[3]. 그동안 응급구조(학)과에서는 학과의 교육목표에 근거하여 대학의 비전 및 관련 산업체와 사회적 요구 수준에 부응하는 인재양성을 위해 2016년 7월 (사)한국응급구조학회의 연구용역으로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를 통해 표준안(교양교과, 전공교과, 학내실습 실기항목, 임상 및 구급현장실습 등 - 교육과정 1차 표준안이라 함)을 확정하여 제시하였다[4].
또한 2016년 12월에는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정책연구로 『우수한 응급구조사 인력양성 및 배출을 위한 정책제안 연구』를 통해 1급 응급구조사의 직무 기반 핵심역량을 필수교양 핵심역량과 전공 관련 핵심역량으로 분류하고, 필수교양 핵심역량으로 ‘생명존중의 직업적 소명의식 역량’과 ‘소통과 협업 역량’으로 제시하였고 전공 관련 핵심역량으로 ‘응급통신 역량’, ‘응급환자평가 역량’, ‘전문응급처치 역량’, ‘재난안전관리 역량’, ‘이송 및 구급차운용 역량’, ‘진료보조 역량’, ‘자기계발 역량’의 9가지 역량을 개발하여 직무역량과 연계된 표준교육과정안을 제시하고 국가시험제도 개선안 및 응급구조사 자격제도 개선안을 도출하여 제시한 바 있다[5].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국 어느 대학 응급구조(학)과를 졸업한 1급 응급구조사라도 누구나 공통적인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전공교육과 현장실습 교육을 받았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였으나 아직은 그 결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듯하다. 일부 대학들은 발 빠르게 2016년 교육과정 표준안을 준용하여 교육과정을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각 대학의 여건에 따라 아직은 교육과정 표준안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동안 매우 제한되어 있던 응급구조사의 업무 범위를 확대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2016년 1월 보건복지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8조의3제2항에 의한 「한국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기준」 고시에 중증도 분류의 시행주체로서 의사, 간호사 또는 1급 응급구조사의 면허 또는 자격을 갖춘 자로 표기되었고 2019년 12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1조 2항에 보건복지부장관은 5년마다 응급구조사 업무범위의 적절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중앙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응급구조사 업무범위 조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하였다[6].
응급구조(학)과 졸업생들은 주된 취업 분야로 권역과 지역의 응급의료센터, 병원 등과 119구급대원을 포함한 소방공무원, 산업체, 산림청, 해양 경찰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 어느 곳으로 취업을 하든 1급 응급구조사로서 요구되는 역량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1급 응급구조사의 전문역량이 얼마나 잘 개발되고 습득되느냐에 따라 현장에서 필요한 전문성을 평가받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소방에서는 119구급대원들의 구급교육훈련 체계를 혁신하기 위해 TF팀을 구성하여 구급 현장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교육훈련에 연계하기 위해 전국의 응급구조(학)과와 함께 협력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에서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여 운영해야할 시점에 와 있다.
최근 대학 입학자원 감소라는 사회적인 변화와 교육부의 정책변화 그리고 소방과 병원응급의료센터 등에서의 취업여건의 변화 등에도 불구하고,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전문역량을 갖춘 1급 응급구조사 양성의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학의 노력들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지금까지 객관적인 평가는 아직은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능력 있는 1급 응급구조사의 배출은 3~4년의 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얼마나 잘 교육하여 졸업생을 배출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이는 표준화된 교육과정 뿐 만아니라 교육을 위한 제반 여건들이 충족되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이제는 이러한 교육의 제반 여건들을 평가하는 응급구조교육 인증평가가 절실하게 필요하며 이를 위한 준비에도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그 선결 과제로서 전국의 41개 응급구조(학)과에서 이수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다시 점검해 보고 구급현장실습과 관련된 통일된 표준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구조교육 인증평가와 1급 응급구조사의 확대되는 업무범위에 대비하고 고품질의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1차 표준안을 수정 및 보완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1급 응급구조사의 기본자질을 향상시키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재정립하여 각 대학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1급 응급구조사의 현장 직무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2차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교육과정 1차 표준안에 따른 교과목의 과목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정도를 파악한다.

  • 2) 교육과정 1차 표준안 미반영 사유를 파악한다.

  • 3) 구급현장실습 운영 현황을 파악한다.

  • 4) 교육과정 2차 표준안을 제시한다.

  • 5) 구급현장실습 표준안을 제시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각 대학에서 2016년 7월에 제시하였던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1차 표준안에 부합되도록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구급현장실습 운영 현황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회의, 공청회를 거쳐 1급 응급구조사의 현장직무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2차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전국 응급구조(학)과 전수인 41개 대학이 연구 대상이었으며, 최종적으로 교육과정은 38개 대학(3년제 대학 22개, 4년제 대학 16개), 구급현장실습 운영현황은 36개 대학(3년제 대학 21개, 4년제 대학 15개)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3. 자료수집 방법

전국 41개 응급구조(학)과를 대상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학과장들에게 전자우편 발송을 통해 교육과정표 요청과 설문조사(2016년 교육과정 1차 표준안 반영 여부, 구급현장실습 운영 현황 등)를 실시하였다. 교육과정은 38개 대학(3년제 대학 22개, 4년제 대학 16개), 구급현장실습 운영현황은 36개 대학(3년제 대학 21개, 4년제 대학 15개)의 자료가 분석대상이었다.

4. 연구진행절차

1) 교육과정표 분석

2019년 각 대학의 교육과정표를 2016년 교육과정 1차 표준안과 비교하여 교과목의 학점 일치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2) 설문조사

설문조사는 연구진의 회의를 통하여 2016년 교육과정 1차 표준안 반영 여부, 구급현장실습 운영현황 등의 자료를 전국응급구조(학)과 학과장들에게 전자우편 발송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3) 전문가 회의

구급현장실습의 표준안을 확정하기 위하여 각 대학의 구급현장실습 기관의 평가표와 실습일지를 수집, 분석하여 하나의 표준안을 만들고 9개 시·도 소방본부의 구급현장실습 지도경험이 있는 9명의 전문가 자문 및 검토를 통해 의견을 통합하였다.

4) 결과 분석 및 공청회를 통한 교육과정 2차 표준안 확정

응급구조(학)과의 2차 교육과정 표준화와 관련하여 각 대학의 교육과정표와 2016년 교육과정 1차 표준안과의 비교분석, 전국 대학의 학과장들을 통한 설문지 분석, 구급현장실습 관련 전문가회의, 공청회(65명 참석)를 통하여 의견 수렴 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응급구조(학)과 교육 과정 2차 표준안을 확정하였다.

5. 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하였다. 또한 구급현장실습에서 지도교수 방문지도 내용의 텍스트 분석은 NVivo 12.0을 이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응급구조학과의 학점분포

응급구조학과의 학점분포는 <Table 1>과 같다. 교양학점은 중위값 기준으로 4년제에서 3년제 보다 약 2.5배 많은 학점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전공학점은 반대로 3년제가 12학점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3년제 전공과목 중 국가시험을 위한 리뷰과목으로 추정되는 과목들이 일부 있어 단순비교 해석은 신중해야 할 것이다.
졸업학점은 3년제 대학이 2016년 대비 평균 120.7학점에서 115학점으로, 4년제 대학이 평균 131.6학점에서 128.4학점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중위값 기준으로는 4년제 대학은 130학점이었고, 3년제 대학은 114학점으로 감소하였다.

2. 교육과정 1차 표준안에 따른 과목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1) 교양필수 과목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교양필수 과목의 개설 및 학점지침 준수 상황은 <Table 2>와 같다.
생명의료윤리 과목은 3년제 45.5%(10개교), 4년제 12.6%(2개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의사소통 과목은 3년제 77.2%(17개교), 4년제 22.8%(5개교)가 운영되고 있었다. 그러나 운영 학점 지침에 의거 3학점 이상으로 교과목을 개설한 비율은 생명의료윤리 과목에서 3년제는 없었고 4년제 6.3%(1개교), 의사소통 과목에서 3년제 13.6%(3개교), 4년제 12.5%(2개교)로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표준안에서 제시한 교양필수 교과목의 개설은 특히 4년제에서 매우 낮았고, 학점 준수는 3년제와 4년제 모두 낮았다.

2) 기초의학 관련 과목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기초의학 관련 과목의 개설 및 학점지침 준수 상황은 <Table 3>과 같다.
해부학, 생리학, 응급약리학, 공중보건학 등의 과목은 운영 학점 지침에 80% 이상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의학용어, 병리학은 70% 미만의 준수율을 보였다.
공중보건학 및 의학용어 과목이 개설되지 않은 곳은 4년제 대학으로 각각 18.8%(3개교), 6.3%(1개교)로 확인되었다.

3) 전문응급처치학 총론 관련 과목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전문응급처치학 총론 관련 과목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상황은 <Table 4>와 같다.
재난관리학은 3년제 1개교를 제외하면 4년제와 3년제에서 모두 학점 지침에 준수한 운영을 하고 있으나 응급구조학개론과 환자구조와 이송 과목은 4년제의 경우 각각 62,5%(10개교)가 학점 지침을 준수하고 있었고 3년제의 경우 응급구조학개론은 더 낮은 45.5%(10개교), 환자구조와 이송은 더 높은 77.3%(17개교)가 준수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문응급처치학 총론 교과목 중 일부를 아예 개설하지 않은 대학도 있었는데, 환자구조와 이송 과목은 3년제 22.7%(5개교), 4년제 31.3% (5개교)가 개설하지 않았으며 응급구조학개론은 3년제에서 18.2%(4개교), 재난관리학은 3년제에서 4.5%(1개교)가 개설하지 않았다. 이는 전문응급처치학 총론이 국가시험 교과목임을 고려할 때 교과 내용은 다른 과목에서 가르치고 있으나 과목명이 표준안과 통일되지 않은 결과인 것으로 추정된다.

4) 응급환자관리학 및 응급환자평가 과목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응급환자관리학 및 응급환자평가 과목의 개설 및 학점지침 준수 상황은 <Table 5>와 같다.
응급환자관리학은 3년제에서 95.5%(21개교)의 높은 준수율을 보였으나 4년제는 68.8%(11개교)로 비교적 낮은 준수율을 보였으며 응급환자평가 과목은 3년제 68.2%(15개교), 4년제 62.5%(10개교)로 확인되었다.

5) 전문응급처치학 각론 관련 과목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전문응급처치학 각론 관련 과목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상황은 <Table 6>과 같다.
전문외상처치학은 3년제 68.2%(15개교), 4년제 68.8%(11개교)로 비교적 높은 준수율을 보였으며, 전문심장소생학은 3년제 59.1%(13개교), 4년제 56.3%(9개교)의 준수율을 보였다.
심전도 과목은 3년제 54.5%(12개교), 4년제 62.5%(10개교)의 준수율을 보였고 내과전문응급처치학은 3년제 50.0%(11개교), 4년제 56.3%(9개교)로 확인되었다.
기본인명소생술 과목은 3년제 72.7%(16개교), 4년제 100%(16개교)로 높은 준수율을 보였으나 3년제 13.6%(3개교)에서는 개설하지 않았다.
전문기도관리 과목은 3년제 22.7%(5개교), 4년제 50.0%(8개교)로 낮은 준수율을 보였으며, 특히 과목을 개설하지 않은 3년제가 45.5%(10개교)에 달하였다.
산·소아응급처치학은 3년제 36.4%(8개교), 4년제 43.8%(7개교)로 낮은 준수율을 보였고, 노인·행동·정신응급 과목은 3년제 77.3%(17개교), 4년제 75.0%(12개교)로 높은 학점 지침 준수율을 보였다. 단, 교과목명 분석에서 특수(환자)응급처치학 등의 과목명으로 개설된 경우 산·소아응급처치학이 따로 개설된 경우는 노인·행동·정신응급처치학에 포함하였고 노인·행동·정신응급처치학이 따로 개설된 경우는 산·소아응급처치학에 포함하였으므로 이에 따른 편차가 있을 수 있다.

6) 응급의료관련법령 과목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응급의료관련법령 과목의 개설 및 학점지침 준수 상황은 <Table 7>과 같다.
응급의료관련법령 과목은 3년제(22개교), 4년제(16개교) 모두 개설되어 있으나 3학점 이상 개설한 경우는 3년제 81.8%(18개교), 4년제 56.3% (9개교)로 3년제와 4년제의 준수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7) 기타 전공과목들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기타 전공과목들의 개설 및 학점지침 준수 상황은 <Table 8>과 같다.
통합시뮬레이션 과목의 학점준수율은 3년제 40.9%(9개교), 4년제 25.0%(4개교)로 낮았으며, 진료보조학은 3년제 50.0%(11개교), 4년제 18.8%(3개교)로 확인되었다.
통합시뮬레이션 과목은 3년제 9.1%(2개교), 4년제 18.8%(3개교)가 개설하지 않았으며 진료보조학은 3년제에서 22.7%(5개교), 4년제에서 31.3%(5개교)가 개설하지 않았다.

8) 소방관련 교과목 개설 및 과목 수에 따른 개설 학교 수

소방관련 교과목 개설 및 과목 수에 따른 개설 학교 수는 <Table 9>와 같다.
3년제 86.4%(19개교), 4년제 50.0%(8개교) 대학에 소방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또한 3년제는 68.2%(15개교), 4년제는 25.0%(4개교)가 4학점 이하로 운영하고 있었고, 5학점 이상으로 운영하는 학교는 3년제 18.2%(4개교), 4년제 25%(4개교)였다.

9) 현장실습 교과목의 개설 및 학점 지침 준수

현장실습 교과목의 개설 및 학점지침 준수 상황은 <Table 10>과 같다.
임상현장실습1 과목의 준수율은 3년제 81.8%(18개교), 4년제 75.0%(12개교)로 높게 나타났으며 임상현장실습2 과목의 준수율도 임상현장실습1과 같았다. 임상현장실습3 과목을 개설하지 않은 학교는 3년제 81.8%(18개교), 4년제 31.3%(5개교)로 이는 임상현장실습3 과목의 경우 3년제는 자율시행으로 제안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총 임상현장실습 과목의 준수율은 3년제 81.8%(18개교), 4년제 62.5%(10개교)로 3년제가 더 높았다.
구급현장실습 과목은 3년제에서 72.7%(16개교), 4년제에서 75.0%(12개교)의 준수율을 보였다.

3. 교육과정 1차 표준안 미반영 이유

각 대학에서 교육과정 1차 표준안을 반영하지 못한 이유는 <Table 11>과 같다.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1차 표준안[4]을 반영하지 못한 이유로는 졸업학점 감소가 42.1%로 가장 높았고, 학교특성화 과목 반영 때문 26.3%, 담당교수 초빙 어려움이 13.2%였다.

4. 구급현장실습 운영 현황

각 대학의 구급현장실습 운영 현황은 <Table 12><Fig. 1>과 같다.
구급현장실습의 대상 학년은 3년제 대학은 “3학년”이 71.4%로 많았고, 4년제 대학은 “4학년”이 60.0%로 2, 3학년에 비해 많았다.
실습운영 시기는 3년제 대학은 “하계방학” 중 운영하는 경우가 64.9%로 많았고, 4년제 대학도 “하계방학” 중 운영하는 경우가 66.7%로 3,4년제 전체적으로 “하계방학” 중 구급현장실습을 운영하는 비율이 63.9%로 높았다.
실습 운영기간은 3년제 대학은 “4주”가 90.5%로 조사되었으며, 4년제 대학도 “4주” 운영이 93.3%로 대분을 차지하여 3,4년제 전체적으로 구급현장실습의 운영기간은 “4주가” 91.7%였다.
구급현장실습 인정 학점은 3년제 대학은 “3학점”이 57.1%였고, 4년제 대학도 “3학점”이 60.0%로 3학점으로 운영하는 대학이 많았다.
구급현장실습에서 지도교수가 방문하는 기관/부서로는 학생들이 실습하고 있는 소방서와 119안전센터가 3년제 66.7%, 4년제 40%로 가장 많았고, 실습배정 119안전센터만 방문하는 경우는 3년제 28.6%, 4년제 13.3%였다. 방문하지 않는 경우도 4년제의 경우 26.7%였다.
구급현장실습 시 방문지도교수의 지도내용을 텍스트 분석한 결과 실습태도 9.57%, 실습일지 8.51%, 안전사고예방 6.91%순이었다<Fig. 1>.

5. 교육과정 1차 표준안과 2차 표준안의 비교

교육과정 1차 표준안에서 2차 표준안으로 변화된 내용은 <Table 13>과 같다.
교양교과목은 기존의 교과목 명에서 ‘생명존중의 직업적 소명의식 역량’, ‘소통과 협업역량/자기계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역량’ 중심으로 변경되었고, 이수구분은 필수가 아니라 이수권장으로, 학점은 기존의 3학점에서 2~3학점으로 변경되었다.
전공과목수는 ‘소방학개론’이 신설되어 26과목에서 27과목으로 증가되었다. 전공학점수는 총학점의 감소를 감안하여 자율과목을 제외하고 3년제는 87학점에서 76~79학점으로, 4년제는 90학점에서 78~82학점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과목명에 ‘응급환자관리학 및 실습’, ‘응급환자 평가 및 실습’, ‘전문외상처치학 및 실습’, ‘전문기도관리 및 실습’과 같이 과목명에 ‘실습’을 붙여 실습을 강화하도록 했고, 내과전문응급처치학을 ‘전문내과응급처치학’으로 변경하여 다른 과목명과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했고, ‘진료보조학’은 ‘응급진료보조학’으로 전공특성에 부합하도록 변경했다. 총학점 감소에 따라 자율시행과목을 기존의 ‘임상현장실습 Ⅲ(3년제 자율, 4년제 필수)’에 ‘통합시뮬레이션 Ⅱ’, ‘응급진료보조학’ 2과목을 추가했다. 또한 통합시뮬레이션Ⅰ, Ⅱ를 각각 3학점에서 2학점으로, 진료보조학 6학점을 응급진료보조학 3학점으로, 현장실습 각각 3학점을 2~3학점으로 감소시켜 변경하였다.

6.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2차 표준안

1) 전공 교육과정 2차 표준안

우수한 1급응급구조사를 양성하기 위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전공 교육과정 2차 표준안은 <Table 14>와 같다. 표준안에는 전공공통 최소 표준교과목과 최소학점을 제시하였으며, 나머지 학점은 대학의 상황에 맞게 자율적으로 편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초의학 교과목 중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의학용어는 각각 3학점, 응급약리학, 공중보건학은 각각 2학점으로 제안하였다. 전문응급처치학총론 교과목 중 응급구조학개론은 3학점, 환자구조와 이송(실습 포함), 재난관리학(실습 포함)은 각각 2학점으로 제안하였다. 응급환자관리 교과목 중 응급환자관리학 및 실습 (Ⅰ, Ⅱ)은 총 6학점, 응급환자평가 및 실습은 3학점으로 제안하였다. 전문응급처치학각론 교과목 중 기본인명소생술, 노인·행동·정신응급처치학은 각각 2학점, 심전도(실습 포함), 전문기도관리 및 실습, 산·소아응급처치학(실습 포함)은 각각 3학점, 전문심장소생학(Ⅰ, Ⅱ), 전문외상처치학 및 실습(Ⅰ, Ⅱ), 전문내과응급처치학(Ⅰ, Ⅱ)은 각각 총 6학점으로 제안하였다. 응급의료관련법령은 3학점으로 제안하였고, 융복합 전공으로 통합 시뮬레이션Ⅰ, Ⅱ 각각 2학점, 소방학개론 2학점, 응급진료보조학 3학점으로 하되 통합시뮬레이션 Ⅱ와 응급진료보조학은 자율시행으로 제안하였다. 현장실습은 각각 2~3학점으로 4주 동안 160시간을 진행하되 임상현장실습Ⅰ과 Ⅱ, 구급현장실습은 필수로 진행하되 임상현장실습Ⅲ는 3년제의 경우 자율시행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3년제의 전공 총학점은 76~79학점, 전공학점 평균 102학점 대비 74.5~77.5%를 제안하였고, 4년제의 전공 총학점은 78~82학점, 전공학점 평균 101학점 대비 77.2~81.2%를 제안하였다.

2) 교양 교육과정 2차 표준안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양 교육과정 2차 표준안은 <Table 15>와 같다.
교양 교과목은 총학점 감소 추세와 학교마다 다양한 교양과목 운영을 감안하여 필수과목에서 이수권장과목으로 변경하여 제안하였고 학점도 3학점에서 2~3학점으로 변경하여 제안하였다.
1급응급구조사의 직무역량 영역인 ‘생명존중의 직업적 소명의식 역량’을 갖출 수 있는 생명의료 윤리, 직업윤리 등의 과목을 제시하였고, ‘소통과 협업역량/자기계발 역량’을 갖출 수 있는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글쓰기와 의사소통 등의 다양한 과목을 2~3학점으로 선택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7. 구급현장실습 2차 표준안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구급현장실습 2차 표준안은 다음과 같다.
실습기간은 4주, 160시간으로 운영하고, 실습 학점은 최소 2학점 이상으로 운영하며, 실습 지도교수의 방문지도 대상기관은 실습생이 실습중인 ‘119안전센터(119구급대)’를 기본으로 방문하여 지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구급현장실습 평가표’, ‘구급현장실습 실습일지’, ‘구급현장실습 활동일지’, ‘실습복장’, 실습 전 필수 준비사항으로 ‘실습기관에 제출해야 할 예방접종 내역’과 ‘필수 예방접종 항목’은 구급현장 실습지침서(안)에 표준안을 수록하여 제시하였다[7].

Ⅳ. 고 찰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1995년 응급구조과가 개설된 이후로 다수의 연구가 있었으며[8-12] 가장 최근에는 1급 응급구조사와 관련있는 3개 단체인 (사)한국응급구조학회와 전국응급구조(학)과교수협의회, 대한응급구조사협회에서 전문가 집단과 공청회까지 거쳐 공동연구 결과로서 교육과정 표준안을 제시하였다[4]. 이후 구급대원 특채 시 임상경력을 갖춘 1급응급구조사채용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구급현장실습 시 안전을 위해 안전모 착용과 실습복장을 통일하도록 실습기관의 요청이 있었으며,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와 관련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5년마다 응급구조사 업무범위의 적절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중앙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응급구조사 업무범위 조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신설되었다[6].
본 연구에서는 1급 응급구조사의 확대되는 업무범위에 대비하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재정립하여 1급 응급구조사의 현장 직무역량을 향상시키고자, 2016년에 제안된 교육과정 표준안의 운영을 점검하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2차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응급구조학과의 졸업학점은 2016년 당시 3년제 120.7학점, 4년제 131.6학점이었으나[4] 본 연구에서는 3년제 115학점, 4년제 128.4학점으로 약간 감소되었다. 학령인구의 급감, 대학구조개혁, 개정강사법의 시행 등으로 각 대학들은 졸업학점을 축소해왔으며 응급구조학과 또한 예외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교양필수 과목의 경우 표준안에서 제시한 ‘생명의료윤리’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교과목 명으로 3학점을 준수하고 있는 대학은 각각 6.3%와 12.5%밖에 되지 않았다. 이는 졸업학점 감소를 반영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2차 표준안에서는 교양필수과목을 이수권장으로 하고 학점도 2~3학점으로 변경하였으며 과목명도 교양과목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윤리’, ‘의사소통’, ‘대인관계’를 포함한 다양한 과목을 제시하였다.
기초의학 관련교과목들 중 표준안에서 제시한 학점대로 운영하고 있는 3년제와 4년제의 비율은 생리학이 100%로 가장 높았으며, 해부학 93.8~100%, 응급약리학 95.5~100%로 높았고, 공중보건학은 81.2~90.9%였으며, 병리학은 59.1~62.5%, 의학용어는 56.3~68.2%로 상대적으로 학점 준수비율이 낮았다. 특히 공중보건학 및 의학용어 과목이 개설되지 않은 곳은 4년제 대학으로 각각 18.8%(3개교), 6.3%(1개교)로 확인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4년제 대학의 경우 교양학점이 28.6학점으로 3년제 대학 11.4학점보다 상대적으로 많아 기초의학 관련 일부과목 개설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전문응급처치학 총론 관련 3개의 교과목 중 재난관리학의 학점지침 준수율이 95.5%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응급구조학개론은 3학점 이상 준수율이 45.5~62.5%로 낮은 편이었으며 3학점 미만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36.4~37.5%, 개설되지 않은 경우도 3년제의 경우 18.2%였다. 최 등[4]의 연구에서 응급구조학개론이 3년제의 경우 3~11학점으로 운영된 점을 감안하면 표준안 제시에도 불구하고 매우 학점이 축소되었거나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응급구조학개론은 응급의료체계, 응급구조사의 역할과 책임, 응급구조사의 안녕, 의료/법적 책임, 응급의료 통신 및 기록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13], 학점 분배가 어려워 다른 과목에서 일부 내용을 부득이하게 배우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나, 응급구조학에 입문하는 응급구조사들에게 상징적인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므로 표준안이 준수되어야 할 것이다.
응급환자관리학은 4년제(68.8%)보다 3년제에서 학점 준수율이 95.5%로 높았으며, 응급환자평가는 3년제와 4년제 각각 68.2%, 62.5%만이 3학점 이상 준수하고 있었다. 이는 Choi 등[4]의 연구에서 응급환자관리학의 평균학점이 3년제의 경우 6.2학점(3~11학점), 4년제의 경우 5.8학점(4~8학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4년제의 표준안 적용을 통한 개선이 아쉬운 결과이다. 또한 응급환자평가의 경우 3년제와 4년제 각각 평균 3.3학점, 3.0학점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4] 본 연구에서는 31.8~37.5%가 학점을 준수하지 못하였다.
전문응급처치학각론 관련 교과목은 8과목 중 3년제의 경우 노인·행동·정신응급처치학 77.3%, 기본인명소생술 72.7% 순으로 학점준수율이 높았고, 전문기도관리 과목은 22.7%로 가장 낮은 준수율을 보였으며, 특히 과목을 개설하지 않은 3년제가 45.5%(10개교)에 달하였다. 그러나 실기항목 수행률 조사에서 다양한 기도관리 실기가 52.8~100%까지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7] 다양한 과목에서 분산되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교과목명은 전문직종의 교육과정을 대표하는 것이므로 응급구조사가 다양한 내용의 전문기도관리를 배우고 있다면 표준안에 따라 하나의 독립된 교과목으로 학점을 부여하여 진행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것이다. 4년제의 경우 기본 인명소생술 100%, 노인·행동·정신응급처치학 75% 순으로 학점준수율이 높았고, 학점준수율이 가장 낮은 과목은 산·소아응급처치학(43.8%)이었다.
응급의료관련법령, 통합시뮬레이션, 진료보조학의 표준안 학점준수율은 모두 3년제가 4년제보다 높았다. 특히 통합시뮬레이션의 경우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하는 직무상 중요한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3년제의 9.1%, 4년제의 18.8%가 개설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교과목 명으로만 판단한 것이므로 교과목내에서 시뮬레이션을 운영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과목명으로 표시되지 않은 경우는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중요한 교과목일수록 표준안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표준안에는 없었으나 졸업생의 진로선택에서 41.5~61.8%가 소방공무원이 되어 구급대원으로 활동하기를 희망[14,15]하는 점을 고려하여 소방 관련 교과목 개설 여부를 조사한 결과 3년제에서 4학점 이하(68.2%), 2과목(40.9%)을 개설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4년제에서는 5학점 이상, 3과목 이상의 경우도 각각 25%였다. 따라서 제2차 표준안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현장실습 과목의 표준안 학점준수율은 임상현장실습Ⅰ,Ⅱ는 75~81.8%였다. 임상현장실습Ⅲ은 4년제의 경우 62.5%였다. 구급현장실습의 학점 준수율은 72.7~75%로 나타났다. 임상현장실습Ⅲ의 경우 3년제는 자율시행이었으나, 4년제는 필수였음에도 불구하고 31.3%가 개설하지 않고 있었다. 응급구조사의 직무 특성상 교육과정에서 임상 현장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목을 임상 증례를 통해 현장학습 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므로 표준안을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표준안을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졸업학점 감소가 42.1%로 가장 높았고, 학교특성화 과목 반영 때문 26.3%, 담당교수 초빙 어려움이 13.2%였다. 졸업학점은 3년제의 경우 최소 115학점에서 110학점까지 줄었으며, 4년제의 경우에도 최소 120학점에서 110학점까지 감소한 경우가 있었다.
구급현장실습에서 지도교수가 방문하는 기관/부서로는 학생들이 실습하고 있는 소방서와 119안전센터가 3년제 66.7%, 4년제 40%로 가장 많았고, 실습배정 119안전센터만 방문하는 경우는 3년제 28.6%, 4년제 13.3%였다. 방문하지 않는 경우도 4년제의 경우 26.7%였다. 학생들이 실습중임에도 방문지도하지 않는 것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자문과 공청회를 통해 실습 지도교수의 방문지도 대상기관은 실습생이 실습중인 ‘119안전센터(119구급대)’를 기본으로 방문하여 지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소방청에서는 구급현장실습과 관련하여 전국적으로 응급구조학과 표준안을 만들어 적용하기를 권고해왔고 본 연구의 목적 중 중요한 하나는 이것에 대한 표준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면관계상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표준양식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나열하지 못하였고, 구체적인 내용은 Choi 등[7]의 연구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교육과정 2차 표준안의 주요 변화를 살펴보면, 교양교과목은 총학점 감소추세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측면에서 ‘역량’ 중심으로 변경되었고, 이수구분은 이수권장으로, 학점은 기존의 3학점에서 2~3학점으로 변경되었다. 전공과목수는 전공진로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방학개론’이 신설되어 26과목에서 27과목으로 증가되었다. 전공학점수는 총학점의 감소를 감안하여 3년제는 87학점에서 76~79학점으로, 4년제는 90학점에서 78~82학점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과목명에 ‘실습’을 붙여 실습을 강화하도록 했고, 총학점 감소에 따라 자율시행과목을 기존의 ‘임상현장실습Ⅲ(3년제 자율, 4년제 필수)’에 ‘통합시뮬레이션Ⅱ’, ‘응급진료 보조학’ 2과목을 추가했다. 통합시뮬레이션의 경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점감소와 Ⅱ를 자율시행과목으로 추가한 것은 총학점이 감소됨에 따라 단독과목으로 운영하지 않고 과목명에 시뮬레이션을 붙여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학교의 재량권을 어느 정도 인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장실습 과목은 각각 3학점을 2~3학점으로 감소시켜 변경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6년 표준안[4]의 준수 실태를 분석하고 표준안을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를 확인하였으며, 총 학점의 감소추세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전문성을 살리되 자율시행 교과목을 추가하여 최소한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Ⅴ. 결 론

2016년에 제시된 교육과정 표준안의 학점 준수율은 교양과목 0~13.6%, 전공과목은 22.7~100%까지 과목별로 다양했으나 26개 과목 중 11과목만이 70%이상의 준수율을 보였고, 특히 전문응급처치학각론 관련 8과목 중 2과목만이 70%이상의 학점 준수율을 보였다.
연구진은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2차 표준안으로 27과목을 제시하였으며, 3년제는 76~79학점, 4년제는 78~82을 제시하였다. 이는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1급 응급구조사로서 학습해야 할 최소한의 필수 교과목을 제시한 것이며, 표준안을 제외한 약 20~25%의 전공교과목은 1급 응급구조사가 되기 위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교의 재량과 선택에 따라 능동적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사회는 고품질의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의 1급 응급구조사를 필요로하며, 이를 위해서는 표준화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보완해나가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응급구조(학)과 인증평가제’ 도입도 표준화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교육의 질과 환경을 개선하여 전문역량을 갖춘 1급 응급구조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ig. 1.
Text analysis of instruction contents by visiting professor using NVivo(12.0).
kjems-24-3-7f1.jpg
Table 1.
The curriculum distribution of the paramedic department in 2019
Category 3-year course
4-year course
mean SD min median max mean SD min median max
Liberal arts 11.4 3.0 6 12 17 28.6 10.0 10 29 45
Major subjects 101.9 10.9 69 102 119 88.4 16.8 58 90 121
Credits for graduation in 2019 115.0 4.5 110 114 122 128.4 8.0 110 130 140
Credits for graduation in 2016 120.7 - 115 - 127 131.6 - 120 - 142
Table 2.
Compliance with credits of compulsory liberal arts subjects by the first standard curriculum
Subject Credits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Biomedical ethics 0 12 54.5 14 87.4
< 3 10 45.5 1 6.3
≧ 3 - - 1 6.3
M±SD 0.82±0.96 0.31±0.87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hips 0 5 22.8 11 68.8
< 3 14 63.6 3 18.8
≧ 3 3 13.6 2 12.5
M±SD 1.68±1.25 0.75±1.18
Table 3.
Compliance with credits of basic medicine subjects by the first standard curriculum
Subject Credits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Anatomy < 3 -  -  1 6.2
≧ 3 22 100.0 15 93.8
M±SD 3.32±0.48 3.25±0.68
Physiology ≧ 3 22 100.0 16 100.0
M±SD 3.45±0.51 3.25±0.58
Pathology < 3 9 40.9 6 37.5
≧ 3 13 59.1 10 62.5
M±SD 2.82±0.96 2.63±0.50
Pharmacology < 2 1 4.5 - -
≧ 2 21 95.5 16 100.0
M±SD 2.45±1.01 2.50±0.52
Public health 0 -  -  3 18.8
< 2 2 9.1 - -
≧ 2 20 90.9 13 81.2
M±SD 2.00±0.44 1.88±1.02
Medical terminology 0 - - 1 6.3
< 3 7 31.8 6 37.5
≧ 3 15 68.2 9 56.3
M±SD 3.27±1.08 2.50±0.89

* Included in 0 if opened in liberal arts

Table 4.
Compliance with credits of introduction to paramedic care subjects by the first standard curriculum
Subject Credits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Introduction to paramedicine 0 4 18.2 - -
< 3 8 36.3 6 37.5
≧ 3 10 45.5 10 62.5
M±SD 2.41±1.53 2.69±0.60
Patient rescue and transport 0 5 22.7 5 31.2
< 2 - - 1 6.3
≧ 2 17 77.3 10 62.5
M±SD 1.82±1.33 1.69±1.58
Disaster management 0 1 4.5 - -
≧ 2 21 95.5 17 100.0
M±SD 2.27±1.03 2.44±0.63
Table 5.
Compliance with credits of paramedic patient assessment and management by the first standard curriculum
Subjects Credits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 3 7 31.8 6 37.5
≧ 3 15 68.2 10 62.5
M±SD 2.95±0.84 2.94±1.06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 6 1 4.5 5 31.2
≧ 6 21 95.5 11 68.8
M±SD 6.95±1.79 5.50±1.15
Table 6.
Compliance with credits of particulars to paramedic care subjects by the first standard curriculum
Subjects Credit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Advanced trauma life support < 6 7 31.8 5 31.2
≧ 6 15 68.2 11 68.8
M±SD 6.36±2.48 5.63±2.03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 6 9 40.9 7 43.8
≧ 6 13 59.1 9 56.2
M±SD 5.5±1.76 4.88±1.50
Electrocardiogram < 3 10 45.4 6 37.5
≧ 3 12 54.5 10 62.5
M±SD 2.59±0.73 2.81±0.83
Paramedic care to internal medicine 0 1 4.5 - -
< 6 10 45.5 7 43.8
≧ 6 11 50.0 9 56.2
M±SD 4.73±1.83 5.38±1.93
Basic life support 0 3 13.6 - -
< 2 3 13.6 - -
≧ 2 16 72.7 16 100.0
M±SD 2.27±1.45 2.56±0.63
Advanced airway management 0 10 45.5 4 25.0
< 3 7 31.8 4 25.0
≧ 3 5 22.7 8 50.0
M±SD 1.41±1.47 2.06±1.34
Obstetric and pediatric emergency care 0 - - 2 12.4
< 3 14 63.6 7 43.8
≧ 3 8 36.4 7 43.8
M±SD 2.61±1.02 2.88±1.85
Geriatric·behavioral·psychiatric emergency care 0 4 18.2 1 6.2
< 2 1 4.5 3 18.8
≧ 2 17 77.3 12 75.0
M±SD 1.75±1.02 1.94±0.98
Table 7.
Compliance with credit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related legislations by the first standard curriculum
Subject Credit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Emergency medical service-related legislations < 3 4 18.2 7 43.8
≧ 3 18 81.8 9 56.2
M±SD 3.59±1.14 2.56±0.51
Table 8.
Compliance with credits of convergence subjects by the first standard curriculum
Subject Credit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Integrated simulation 0 2 9.1 3 18.8
< 6 11 50.0 9 56.2
≧ 6 9 40.9 4 25.0
M±SD 4.32±2.64 3.88±3.40
Physician assistance 0 5 22.7 5 31.2
< 6 6 27.3 8 50.0
≧ 6 11 50.0 3 18.8
M±SD .82±2.74 3.31±3.38
Table 9.
Subject for the fire-fighting
Category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Number of subject 0 3 13.6 8 50.0
1 6 27.3 4 25.0
2 9 40.9 0 0.0
≧ 3 4 18.2 4 25.0
Total credit 0 3 13.6 8 50.0
< 4 15 68.2 4 25.0
≧ 5 4 18.2 4 25.0
Table 10.
Compliance with credits of field practice subjects by the first standard curriculum
Subject Credit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Clinical practice 1 < 3 4 18.2 4 25.0
≧ 3 18 81.8 12 75.0
M±SD 3.09±1.11 2.81±0.54
Clinical practice 2 0 1 4.5 0 0.0
< 3 3 13.6 4 25.0
≧ 3 18 81.8 12 75.0
M±SD 3.05±1.33 2.81±0.54
Clinical practice 3 0 18 81.8 5 31.3
< 3 1 4.5 1 6.3
≧ 3 3 13.6 10 62.5
M±SD 0.45±1.06 2.38±2.09
Clinical practice total < 6 4 18.2 - -
≧ 6 18 81.8 - -
< 9 - - 6 37.5
≧ 9 - - 10 62.5
M±SD 6.59±2.52 8.00±3.01
Prehospital field practice < 3 6 27.3 4 25.0
≧ 3 16 72.7 12 75.0
M±SD 2.91±1.02 2.94±0.77
Table 11.
The reason why the first paramedic curriculum could not be implemented
Reasons 3-year course
4-year course
Total
n % n % n %
Decrease of credits for graduation 10 45.5 6 37.5 16 42.1
Increase subjects for university characteristic 5 22.7 5 31.3 10 26.3
Difficulty in hiring suitable professors 4 18.2 1 6.3 5 13.2
Disagree with 2016 curriculum 1 4.5 2 12.5 3 7.9
Other 4 18.2 1 6.3 5 13.2
Table 12.
Current state of operation to prehospital field practice
Category 3-year course
4-year course
n % n %
Recipient Sophomore 15 71.4 1 6.7
Junior 6 28.6 5 33.3
Senior - - 9 60.0
Operating season Winter 5 23.6 5 33.3
Summer 13 64.9 10 66.7
2nd semester 3 14.3 - -
Period 3 weeks 2 9.5 - -
4 weeks 19 90.5 14 93.3
5 weeks - - 1 6.7
Credit 1 1 4.8 - -
2 3 14.3 5 33.3
3 2 57.1 9 60.0
4 4 19.0 - -
5 1 4.8 1 6.7
Institution to visit for instruction 119 safety center 6 28.6 5 13.3
Fire station 1 4.8 - -
Fire station & 119 safety center 14 66.7 6 40.0
Not to visit - 4 26.7
Ranking of instruction contents* Practice attitude 18 9.57%
Practice daily report 17 8.51%
Accident prevention 13 6.91%

* Proportion of top ranking contents in Fig. 1.

Table 13.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standard curriculum (2016) and the second standard curriculum (2019)
Category First Standard Curriculum (2016) Second Standard Curriculum (2019)
Liberal arts
  subjects Biomedical ethics subject for professional consciousness for dignity of life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hips subject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elf-improvement
course Compulsory Recommend
credits 3 / each subject 2~3 / each subject
Major subject
Number of major subject 26 27
Total credits 3-year course 87 76 ~ 79 (except optional subjects)
4-year course 90 78 ~ 82 (except optional subjects)
Category revision Other major area Convergence major area
Changed subject name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including practice)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and practice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including practice)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and practice
Advanced trauma life support (including practice) Advanced trauma life support and practice
Paramedic care to internal medicine Advanced paramedic care to internal medicine
Advanced airway management(including practice) Advanced airway management and practice
Physician assistance Emergency physician assistance
Added subject - Introduction of firefighting science
Autonomy of selecting Clinical practice Ⅲ(compulsory in 4-year course) Integrated simulation Ⅱ
Emergency physician assistance
Clinical practice Ⅲ(compulsory in 4-year course)
Changed credit Clinical practice Ⅰ, Ⅱ, Ⅲ : 3 credits for each Clinical practice Ⅰ, Ⅱ, Ⅲ : 2~3 credits for each
Integrated simulation Ⅰ, Ⅱ : 3 credits for each Integrated simulation Ⅰ, Ⅱ : 2 credits for each
Physician assistance : 6 credits Emergency physician assistance : 3 credits
Table 14.
Second standardization for paramedic curriculum in South Korea
Category Subject Credit(period) Reference
Basic medicine Anatomy 3
Physiology 3
Pathology 3
Emergency pharmacology 2
Public health 2
Medical terminology 3
Introduction to paramedic care Introduction to paramedicine 3
Patient rescue and transport 2 including practice
Disaster management 2 including practice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and practice 6 Ⅰ, Ⅱ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and practice 3
Particulars to paramedic care Basic life support 2
Electrocardiogram 3 including practice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nd practice 6 Ⅰ, Ⅱ
Advanced trauma life support and practice 6 Ⅰ, Ⅱ
Advanced Paramedic care to internal medicine 6 Ⅰ, Ⅱ
Advanced airway management and practice 3
Obstetric and pediatric emergency care 3 including practice
Geriatric·behavioral·psychiatric emergency care 2
Law Emergency medical service-related legislations 3
Convergence major Integrated simulationⅠ 2
Integrated simulation Ⅱ 2 autonomy
Introduction of firefighting science 2
Emergency physician assistance 3 autonomy
Field practice Clinical practice Ⅰ 2~3 (4 wks,160 hrs)
Clinical practice Ⅱ 2~3 (4 wks,160 hrs)
Clinical practice Ⅲ 2~3 (4 wks,160 hrs) autonomy in 3-year course
Prehospital field practice 2~3 (4 wks,160 hrs)
Total credit 3-year course 76~79 74.5~77.5% (% per 102 credits*)
4-year course 78~82 77.2~81.2% (% per 101 credits*)

* The median credit of all major subject for graduation in all paramedicine department

Table 15.
Recommend subject for liberal arts
Necessary competency Credits Recommend subject
Liberal arts Professional consciousness for dignity of life 2~3 Biomedical ethics, Life ethics, Professional ethics, Professional and servant ethics, etc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 self-improvement 2~3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ompetency of communication, Writing and communication, Interpersonal comprehensive and relationship, Communication and teamwork, Humanity and self-improvement, etc.

References

1. Korean Associa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Statistics. http://www.emt.or.kr/stats_recsroom/stats_recsroom_base/stats_recsroom_main/emrrsc_sttus1.

4. Choi ES, Cho KJ, Hong SG, Kwon HR, Koh BY, Lee KY, et al. Standardization of a curriculum for paramedic students in South Korea. Korean J Emerg Med Ser 2017;21(2):17-37. https://doi.org/10.14408/KJEMS.2017.21.2.017
crossref
5. Choi ES, Cho KJ, Koh BY, Park HJ, Kim HS, Kwon HR, et al. A suggestion on policy to educate professionally for paramedic student.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54-85. 2016b.

7. Choi ES, Cho KJ, Hong SG, Lee KY, Yun HW, Han ST, et al. A study on the second standardization for paramedic curriculum in South Korea.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ors i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Korean Associa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2020.

8. Lee JE, Kim SS, Park HJ, Uhm DC, Hyun JS, Hong SG. Validity of redeveloping the paramedic education system from 3-years to 4-years. Korean J Emerg Med Ser 2015;19(1):63-85. https://doi.org/10.14408/KJEMS.2015.19.1.063
crossref
9. Hong SG, Koh BY, Lee JE. Curriculum de velopment and operation methods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n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Korean J Emerg Med Ser 2015;19(2):83-98. https://doi.org/10.14408/KJEMS.2015.19.2.083
crossref
10. Kim HS, Lee YA. Comparative analysis on three-year period curriculum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of college. Korean J Emerg Med Ser 2007;11(2):29-50

11. Kim SS.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Korea. Korean J Emerg Med Ser 2009;13(2):17-59

12. Kang HH, Kim HS. Liberal arts curricula for the 3-year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course: A comparative study. Korean J Emerg Med Ser 2014;18(2):73-94. https://doi.org/10.14408/KJEMS.2014.18.2.073
crossref
14. Park JM, Han SY. Career obstacle factors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career choice type among paramedic stud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16;20(3):95-105. https://doi.org/10.14408/KJEMS.2016.20.3.095
crossref
15. Park SM, Choi ES, Kim MS, Lee KY.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preparation condition for EMT stud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1):65-78. https://doi.org/10.14408/KJEMS.2011.15.1.065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Hwangjo-gil, Dogye-eup, Samcheok-si, Gangwon-do, 25949, Republic of Korea
Tel: +82-33-540-3342    Fax: +82-33-540-3349    E-mail: kjems119@naver.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