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와 영향요인에 대한 문헌고찰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influencing factor: a literature review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21;25(1):193-20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April 30
doi : https://doi.org/10.14408/KJEMS.2021.25.1.193
신요한1orcid_icon, 국종원2orcid_icon, 김보균1,orcid_icon
1 가천대학교 응급구조학과
1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Gachon University
2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응급의료재활학과
2 Ph.D. Candidat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Rehabilitation,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Correspondence to Bo-Kyun Kim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Gachon University, 191, Hambakmoe-ro, Incheon, 21936, Republic of Korea Tel: +82-32-820-4346 Fax: +82-32-820-4449 E-mail: victory15xx@gachon.ac.kr
Received 2021 February 25; Revised 2021 March 28; Accepted 2021 April 20.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prior studies.

Methods:

Databases were searched including national assembly library,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to conduct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sults:

The included studies were published from 2004 to 2017. After apply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o the retrieved 92 studies, a total of 11 studies were includ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was the most common tool used from the included studies. In the study using 5 point Likert type scale,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level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as 3.18. It was 2.86 based on 4 point scal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satisfaction level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s around the medium level. Effective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influencing factors to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 사회는 재난재해, 인구의 노령화, 사건 사고, 만성질환, 뇌혈관 질환, 심장질환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처치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1].

2019년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전국 센터급 이상 응급의료기관 162개소에 내원한 환자는 6,146,688건이다. 이 중 3대 중증응급질환(심근경색, 뇌졸중, 중증외상) 환자는 총 내원 환자의 6.56%로 전년 대비 증가하고 있어 신속한 응급의료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2].

응급의료체계는 응급환자가 발생 시 현장에서 적절한 처치를 시행하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환자를 치료에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한 후 응급의료진에 의해 의료기술과 장비를 집중하여 환자를 치료하도록 지원하는 체계를 말한다[3]. 이러한 응급의료체계에서 응급구조사는 현장에서 발생한 응급환자에 대하여 상담·구조 및 이송 업무를 수행하며 현장이나 이송 중, 의료기관 안에서 응급처치의 업무를 담당한다[4].

1996년부터 시작된 1·2급 응급구조사의 배출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 1,400명, 2019년 2,745명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다. 응급구조사의 취업 현황을 살펴보면 보건소, 응급의료기관, 종합병원, 의원, 산업체, 공항, 119구급대, 경찰, 민간이송업체 등으로 다양한 직군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5].

이처럼 각종 기관에서 근무하는 의료종사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되는 업무 지식과 정보, 내원 환자 및 의료서비스 요구의 증가, 과중한 업무로 인한 긴장감, 반복되는 업무의 특성 등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다[6].

응급구조사는 업무의 특성상 응급상황 시 외상이 있는 다수의 환자 혹은 사망자에 대한 처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내심과 전문성, 조직 내에서 인간관계의 갈등이나 불만족, 스트레스 등에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7].

직무만족도는 직무에서 경험하거나 얻게 되는 욕구 만족도이며 자신의 직무에서 얻게 되는 가치 있는 성취감과 자기실현감으로 정의되며 직무만족 수준의 변화는 가치의 변화에 의해서 반영된다[8]. 응급의료체계 현실에서 응급구조사에 대한 근무환경에서의 안녕 수준, 직무만족과 그로 인한 조직몰입의 정도는 응급구조사의 태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 또한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지만,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업무 소홀, 이직 등의 수동적이고 소극적 태도를 보이기 때문에[10], 각종 기관에서 응급구조사들이 높은 직무만족도를 가지고 일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11].

이에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만족도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응급구조사가 배출된 1996년부터 지금까지 여러 직종에서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었지만, 각 연구 결과가 상충된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선행연구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현재까지 도출된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응급의료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수준과 그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약 20년간 국내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전향적, 후향적 연구 결과에 대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국내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자료를 제공한 논문들을 국내 문헌검색 데이터베이스의 온라인 검색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1996년부터 2021년 1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과 국내 석사, 박사 학위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립중앙도서관(http://www. nl.go.kr), 국회전자도서관(http://dl.nanet.go.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kr), 한국학술정보(http://kiss.kstudy.com), 디비피아(http://www.dbpia.co.kr)를 이용하였다. 문헌 고찰에 필요한 논문을 추출하기 위해 검색어‘직무만족도 and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 and 직무만족도’ 등을 병합하여 진행하였다.

각 데이터베이스에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3편, 국회전자도서관 22편, 국립중앙도서관 26편, 디비피아 9편, 한국학술정보 2편이 검색되었고 이중 중복된 문헌 63편을 제거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되지 않은 연구를 제외하기 위해 각 논문의 제목, 초록을 중심으로 검토하였고, 연구의 전문을 찾아 재선별하여 최종 11편의 논문을 조사하였다<Table 1>.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에 따라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연구를 선택하였는데, 배제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가 직무만족도와 연관성이 미흡한 경우, 둘째, 연구 대상에 응급구조사 외 다른 직군을 포함한 경우 셋째, 초록만 발표됐거나 리뷰논문인 경우, 넷째, 영어 외 다른 외국어로 작성된 문헌의 경우 분석에서 배제하였다. 자세한 문헌 선택과정은 <Fig. 1>에 제시하였다.

The final list of the selected study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Fig. 1

Flow chart of the study selection process.

Ⅲ. 연구결과

1.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1) 연구 설계

포함된 연구는 모두 2004년 이후에 발표된 단면 연구로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직무만족도와 그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2) 연구 대상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되었으며 총 11편으로 포함된 연구 모두 응급구조사의 직위, 근무 기간, 성별 등의 구분 없이 시행되었다. 조사대상자의 규모는 최소 75명[12]에서 최대 849명[13]으로 100명 이하 규모의 연구는 2편, 100-200명 미만인 연구는 5편 200명 이상인 연구는 4편이었다. 조사대상 기관수가 30~50개 미만인 연구가 2편이었고 연구 대상 지역의 모든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9편이었다.

3) 설문방법 및 도구

포함된 연구는 모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그중 2편은 우편을 통해, 1편은 전자우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우편과 전자우편을 모두 사용한 연구는 2편이었다. 나머지 6편은 직접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로는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14]이 개발한 설문지를 수정하거나 적용한 연구가 9편으로 가장 많았다. 이 설문 도구는 보수, 자부심, 역할부담, 동료 간 상호작용, 자제력, 근무 여건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Table 2>. Paula, Eugene, Dianah, Anah[15]과 Moon, Choi, Sohn[16]가 개발한 설문지를 참고한 연구가 각각 1편씩 있었다. Paula는 의료인과의 관계, 행정, 자율성, 보수, 업무량, 전문적 위치, 상호작용 관련 항목으로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였다. Moon은 내적 요인, 외적 요인, 조직적 요인에 관련된 항목으로 직무만족도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이 설문 도구를 통해 직무만족도 수준을 4점 척도로 측정한 연구는 3편, 5점 척도로 측정한 연구는 8편이었다.

The questionnaire about job satisfaction[14]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1)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수준

직무만족도 수준은 5점 척도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평균 3.18점으로 최소 2.9점에서 최대 3.44점이었다. 4점 척도로 직무만족도를 측정한 연구에서는 2.86점이었다.

2)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은 각 연구의 목적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포함된 연구들에서는 응급구조사의 직종과 그들의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6편이었다. 119안전센터와 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를 분석한 연구는 4편이었는데 그중 3편에서 병원보다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군대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를 분석한 연구[17]의 경우 지식수준이 많고 수행 능력과 계급이 높을수록, 육군보다 공군과 해군이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산업체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를 분석한 연구[18]의 경우에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근무 여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 다른 연구[19]에서는 1급 응급구조사와 2급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1급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수준이 크게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찾으려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유의한 차이를 보인 연구는 1편[20]으로 낮은 연관성을 보였으며 해당 연구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 종교가 있는 경우, 기혼자의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응급구조사의 이직 계획이 있는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은 연구[12, 20, 21]와 월수입이 높을수록[20, 23] 직무몰입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수준이 크다는 연구[21, 23, 24]가 있었다. 또한 2교대 근무인 경우 직무만족도가 커진다는 결과를 보인 연구[23, 24]가 있었으며 개인적인 지원동기에 따라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보이는 연구[12, 20, 21, 23]도 있었다. 위와 같이 기술한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을 <Table 3>에 정리하였다.

Influencing factor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s

3) 정책적 합의

포함된 연구에서 말하는 결론은 다양했다. 산업체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고용형태와 근무환경의 개선과 군 내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대대와 군병원 응급실을 포함하는 부서 개편, 전문자격에 대한 수당과 개선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정기적인 합동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17, 18]. 병원과 소방방제청 모두에서 급여, 근무 여건, 환경 및 근무시간, 근무시간 외 보상과 연간 급여 증가율 등의 낮은 만족도를 언급하며 이들 요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13]. 또한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응급구조사들의 고용형태와 급여의 안정[25]과 응급구조사의 병원 내 실질적 역할과 업무를 고려하여 관련 법령의 정비를 위한 연구의 시행을 제안하고 있다[20]. 그 밖의 연구에 따르면 응급구조사의 조직몰입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바탕으로 조직몰입이 향상될 수 있도록 보수, 자율성, 근무환경, 조직요구도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다고 주장하였다[21].

4) 연구의 제한점

포함된 연구들에서는 표본의 크기가 200명 내외로 소수의 표본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을 가장 많은 제한점으로 언급하였다[17, 19, 20, 25]. 그리고 한정된 지역에서 대상자를 모집한 점 또한 제한점으로 고려하였다[22, 23, 25].

Ⅳ. 고 찰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수준을 분석한 국내 문헌을 고찰해 본 결과, 5점 척도로 측정한 8개 문헌의 평균값은 3.18점, 4점 척도 기준의 문헌에서는 2.86점으로 중간 정도의 만족도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다른 보건의료인의 직무만족도 수준과 비교하기 위하여 국내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약사,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최근 연구를 확인해 본 결과, 간호사의 경우 100점 척도 기준 61.19점[26], 물리치료사의 경우 5점 척도 기준 3.09점[27], 방사선사의 경우 270점 척도 기준 171.16점[28], 약사의 경우 5점 척도 기준 2.84점[29], 치과위생사의 경우 5점 척도 기준 3.25점[30]이었다. 이처럼 국내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는 다른 보건의료인과 비교해 보았을 때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의 수행 시기, 만족도 측정에 사용된 도구, 연구대상자의 수, 분석조건이 다르고, 이들 연구가 국내 보건의료인 전체를 대표하지 못하는 점, 무작위 추출된 표본에 의해 측정되지 않은 점에 유의하여 해석해야 할 것이다.

한편, 국내 문헌을 고찰해 본 결과 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보다 119안전센터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 중 일부는 부족한 의료인의 대체자원으로 근무하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업무 외의 역할을 하게 되기도 하며 이와 관련된 사건이 발생하는 등 근무 여건과 보수의 보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31]. 또한, 이와 더불어 병원 내 응급의료센터 근무 시 계약직이나 수련직의 고용 형태가 대부분인 불안전한 상황이다[20].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공무원으로서의 직업적 안정성과 업무수행에 구분이 명확한 119구급대원과의 직무만족도 차이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문헌을 고찰해 본 결과 2급 응급구조사보다 1급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19]. 이러한 결과는 군 내부에서 2급 응급구조사의 자격으로는 추가적인 수당이 없으며 격오지 근무에 배정되는 등 2급 응급구조사 자격취득이 책임의식의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한 Park[17]의 연구와 동일하다. 1급, 2급 응급구조사는 직종에 따라,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업무 범위에 따라 업무의 차이는 있지만 직무의 내용이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18]. 2급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을 찾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직종의 2급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최근 응급의료체계의 기능이 복잡해지고 증가함에 따라 단계별 구성 요소별로 업무가 세분화 되거나 새로운 업무가 생겨나고, 이러한 변화의 안정적인 정착과 발전을 위해 그 업무를 규정할 수 있는 새로운 법안이 마련되고 있다[3]. 이러한 상황과 더불어 응급구조사의 역할과 담당 임상 업무가 변경되고 있어 직무만족도는 연구가 진행된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연구에서는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으로 응급구조사의 업무와의 관계를 밝힌 연구가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응급구조사 본연의 업무인 응급처치 이외에 산업재해 예방 등의 안전 업무, 심폐소생술 교육, 각종 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었고 임상 업무 외에 추가적인 업무를 하는 응급구조사의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사람은 자신의 직무 수행에도 상당한 만족감을 느낀다고 했던 Kim[22]의 연구와 동일하다.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아존중감과 자신감을 증진시키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선행문헌에서 관찰된 유의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응급구조사의 직무설계를 하여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면 환자에게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Ⅴ. 결 론

2004년 이후 출간된 국내 문헌 11개의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결과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는 보통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는 간호사, 물리치료사, 방사선사와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이었다. 가장 최근 연구인 2017년 이후 응급구조사의 업무환경과 각종 질병들로 인한 국내외 응급의료시스템의 변화를 반영하여 현재의 응급구조사 직무만족도는 어떻게 변화했는지 반복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 관찰된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 증가 및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응급구조사의 수행업무와 업무환경을 개선하는 활동을 이어나가야 한다.

References

1. Bae GS, Go BY, Lee JE, Lee IM, Choi GY, Kim ST. Task analysis of paramedics of korea based on DACUM method.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1):5–23. https://doi.org/10.14408/KJEMS.2011.15.1.005.
2.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9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statistical yearbook 2020;
3. Emergency medicine second edition,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Koonja publishing; 2019;2(1):3–9.
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2021;
5.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9 Emergency medical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2020;
6. Hong SM, Kim HK, Ahn YS. A study on the occupational stress, health status and somatization for dental hygienist. J of Dent Hyg Sci 2009;9(3):295–302.
7. Park JS, Kim MS. Impact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personal traits on job related outcome variables. The Korean J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3):1–11. https://doi.org/10.12811/kshsm.2012.6.3.001.
8. McCormick EJ, Tiffin J. Industrial psychology. Prentice hall 1974;:289–99.
9. Tongese MC, Rothstein H, Carter HK. Sources of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ing, guide to effective job design. J Nur Adm 1998;28(5):47–61. https://doi.org/10.1097/00005110-199805000-00008.
10. Anggarwati A, Eliyana A. The influence of creative self-efficacy towards creativity with job satisfaction as intervening variable at PT. International J in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2015;3(1):90–9.
11. Bang BM, Lee SY, Cheong JO.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J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2):205–13. https://doi.org/10.14400/JDC.2015.13.2.205.
12. Kim JG, Koh JM, Kim KW, Jung YT. A study on problem solution method for works improvement and advancement quality of life on job analysi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 Korean Soc Emerg Med Technol 2007;11(1):73–80.
13. Jo HT. Work stress and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i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hospital.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3;22(4):295–304. https://doi.org/10.5807/kjohn.2013.22.4.295.
14. Slavitt DB, Stamps PL, Piedmont EB, Haase Am .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 Res 1978;27(2):207–19. https://doi.org/10.1097/00006199-197803000-00018.
15. Stamp PL, Piedmont EB, Slavitt DB, Haase AM.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 Care 1978;16(4):337–52. https://doi.org/10.1097/00005650-197804000-00006.
16. Moon IB, Choi NG, Sohn SJ. Job satisfa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radiological technologists. J of Agricultural Medicine Community Health 2006;31(2):165–76.
17. Heo JI, Park JM.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milita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of Emerg Med Ser 2015;19(3):33–49. https://doi.org/10.14408/KJEMS.2015.19.3.033.
18. Park JJ, Kim BK, Park SK.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indust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6;11(4):317–26. https://doi.org/10.21097/ksw.2016.11.11.4.317.
19. Park J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ole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2014. Gyeongsan, Korea:
20. Lee OH.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J Korean Soc Emerg Med Technol 2011;15(1):47–63. https://doi.org/10.14408/KJEMS.2011.15.1.047.
21. Park SS, Park JS, Park DS.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ithin hospital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 Korean Soc Emerg Med Technol 2009;13(2):99–108.
22. Kim MS, Kim NH. Impact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1;6(2):147–55. https://doi.org/10.12811/kshsm.2011.5.2.147.
23. Jeong J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of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07. Daegu, Korea:
24. Hwang HJ, Kim JS, Chong J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 Soc Emerg Med Ser 2004;8(1):5–17.
25. Kim DW, Choi SW. Job satisfaction and work stress of EMT-paramedic's according to type of occupation.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1):584–93.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584.
26. Kim HJ, Park JM. Influencing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focusing on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assion fatigue. J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20;10(7):67–74.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7.067.
27. Kim SG, No JW, Park MG, Ha YM, Kim CH, Bae WS. The effects of job types of physical therapist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to center the Pusan ar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014;2(4):41–8. https://doi.org/10.15268/ksim.2014.2.4.041.
28. Lee MH.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due to radiographer's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J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8):408–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408.
29. Shin SJ, Kang HY.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pharmacists and influencing factor:literature review. J of Korean Academy of Social &Managed Care Pharmacy 2017;6(1):22–30.
30. Jung HR, Son AR, Yun YJ, Lee SH, Lee SB, In JA, et al. Study on self-development needs, jobsatisfaction, self-efficacy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ist.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5;6(6):231–9. https://doi.org/10.15207/JKCS.2015.6.6.231.
31. Jang HJ, Baek ML. Influencing factors of the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paramedics.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3):39–51. https://doi.org/10.14408/KJEMS.2013.17.3.03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The final list of the selected study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No. Title year Subject Participants Method Study design Survey tool Results Influence factors* (Conclusion)
1 Job satisfaction and work stress of EMT-paramedic’s according to type of occupation Duk-won Kim, Seong-woo Choi,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ll (584-593) 2017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119 safety center and hospitals 182 Survey Cross-sectional stud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1978) 2.76 / 4 ( + ) 119 safety center workers (-) hospital workers

2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indust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unge-je Park, Bo-kyun Kim, Sang-kyu Pa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eil 11 no.4 (317-326) 2016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industries 206 Survey (mail, e-mail) Cross-sectional stud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1978) 3.33 / 4 (+) the larger the company size

3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milita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Heo-jung Im, Jeong-mi Park,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9 no.3 (33-49) 2015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military 122 Survey Cross-sectional stud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1978) 3.32 / 5 (+)air force, a lot knowledge, high performance capability, high position (-) the army

4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ole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Jin-su Park,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welfare, Kyungil University 2014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119 safety center and hospitals 254 Survey (e-mail) Cross-sectional study Paula, Eugene, Dianah, Anah (1978) 3.44 / 5 ( + ) EMT†-paramedic, (-) EMT†-basic

5 Work stress and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i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hospital Hyeon-tae Jo, Korean J occup health nurs vol.22 no.4 (295-304) 2013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119 safety center and hospitals 849 Survey Cross-sectional stud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1978) 2.5 / 4 ( + ) 119 safety center workers (-) hospital workers

6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Ok-hee Le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5 nod (47-63) 201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university hospitals 141 Survey (mail, e-mail) Cross-sectional stud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1978) 2.9 / 5 (+) old age, male, married, a person of religion, confident support motivation, high salary, the total number of EMT† is small, regular employee (-) those with a plan to turnover

7 Impact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Mi-sook Kim, Nam-hee Kim, Hi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6 no.2 (147-155) 201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hospitals 135 Survey (mail) Cross-sectional stud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1978) 3.14 / 5 (+) high self-esteem, high salary, hospital in Yeosu (-) high job stress

8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ithin hospital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ang-sub Park, Jae-seong Park, Dae-sung Park,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3 no.2 (99-108) 200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hospitals 203 Survey Cross-sectional stud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1978) 3.06 /5 (+)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support motivation for beneficial work (-) those with a plan to turnover

9 A study on problan solution method for works improvement and advancement quality of life on job analysi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ae-gap Kim, Jae-moon Koh, Kyung-wan Kim, Young-tae Ju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1 no.l (73-80) 2007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119 safety center and hospitals 75 Survey Cross-sectional study Moon, Choi, Sohn (2006) 3.41 / 5 (+) high Ability to perform for a role, high Job selection motivation (-) those with a plan to turnover

10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of general hospital Jun-ho Jeong,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07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hospitals 120 Survey Cross-sectional stud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1978) 3.11 / 5 (+)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young age, salary, two shifts duty type, support motivation for gaining experience

11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Hee-jin Hwang, Jin-sun Kim, Ji-yon Cho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8 no.l (5-17) 2004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the 119 safety center and hospitals 85 Survey (mail) Cross-sectional stud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ase (1978) 3.04 / 5 (+)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s as a EMT†, 119 safety center workers, current working place in Jeonnam, two shifts duty type
*

(+): positive correlation, (-): negative correlation, EM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Fig. 1

Flow chart of the study selection process.

Table 2

The questionnaire about job satisfaction[14]

Items
Pay
 1. I am satisfied with taking level of pay in the present.
 2. I am satisfied with overtime duty allowance.
 3. My pay is suitable as ability and career.
 4. Pay is suitable as compare with other post’s employee.
 5. I am satisfied with a rate of increase of pay for a year.
 6. Other colleagues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pay
Pride
 1. My achievement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others.
 2. I am proud of my work.
 3. I will engage in the present business the next.
 4. My business needs many theories and skill.
 5. I have no doubt that my business is important.
 6. Duty time passes by fast on the whole
Self control
 1. I have many chances to develop.
 2. I feel that I am controlled by what I want.
 3. I make a decision myself, a higher office does not all.
 4. I can make a decision on important business by myself and a higher office supports it.
Role burden
 1. I am satisfied with the present achieving business activity.
 2. I can accept burden as necessary.
Cooperation
 1. I have a good relation regardless of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school or rank.
 2. We do not hesitate to help others in my duty post.
 3. We have many chances and times to discuss the spot activity problem.
 4. We have enough chances to participate in executive decision making.
 5. We understand and recognize each business in our duty post.
 6. My duty post deeply considers welfare facilities.
Decision making structure
 1. I satisfy with systemicity of the spot activity and performance method.
 2. There is not a big difference administration and the spot activity.
 3. Systematization of administration system for effective performance
 4. I suggest opinion for policy and procedure plan of working post.
 5. I am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training offer related to job.
All sorts of duty conditions
 1. The present duty time compared with executive public official is suitable.
 2. I am satisfied with the present 24 hour duty change.
 3. I am satisfied with the environment of a waiting room and enough resting room.
 4. I have a suitable compensation as I work off duty activity out of duty time.

Table 3

Influencing factor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s

Factor Definition Relationship* Study
Type of occupation 119 Safty center + Kim DW, Jo HT, Chong JY
Hospital -

EMT level EMT-paramedic + Park JS
EMT-basic -

Demographic factor Old age, male, married, a person of religion + Lee OH

Salary High salary + Lee OH, Kim MS

Organizational commitment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 Park SS, Jeong JH, Hwang HJ

Turnover intention Those with a plan to turn over - Lee OH, Park SS, Kim JG

Type of duty Two shifts + Jeong JH, Chong JY
Others -

Support motivation Confident support motivation, support motivation for beneficial work, support motivation for gaining experience, high job selection motivation + Lee OH, Park SS, Kim JG, Jeong JH
*

(+): positive correlation, (-): negative cor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