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23;27(1):59-7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April 30
doi : https://doi.org/10.14408/KJEMS.2023.27.1.059
송보희1orcid_icon, 윤병길1,orcid_icon, 이단비1orcid_icon, 김진영1orcid_icon
1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1 Department of Paramedicine, Konyang University
* Correspondence to ByoungGil Yoo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Konyang University, 158 Gwanjeodong-ro, Seo-gu, Daejeon, 35365, Repubic Korea Tel: +82-42-600-8463 E-mail: ybksky@konyang.ac.kr
Received 2023 March 2; Revised 2023 April 7; Accepted 2023 April 27.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university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the investigation in D City using a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 from December 1, 2022 to December 31, 2022.

Results: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The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were age and learning flow,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0%.

Conclusion:

Further active management and attention are imperative for vulnerable students in high-age groups to search for the ways to improve learning flow.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대학생은 중·고등학생 시기에 정해진 틀에 맞춰진 일률적이고 수동적인 생활과 달리 온전히 개인이 주체가 되는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대학생활에 적응이 필요하다[1]. Baker와 Siryk[2]는 대학생활적응을 대학생이 학업, 대인관계 및 정서적 측면에서 대학생활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반응하고 적응해 나가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Choi 등[3]은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을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그중에서도 학업적응은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다[4,5].

학업적응은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 즉 학점으로 이어지며, 학점은 대학생이 교과과정을 통해 도달한 학습 수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학업적응정도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대학생의 중도탈락과 관련하여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6].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는 대학이 요구하는 학업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성취하고 있는가를 의미한다[25]. 특히 학업성취도는 대학생의 학업에 대한 자신감과 졸업 이후의 삶을 선택할 수 있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36]. 1970년대 이후 미국에서는 학습자의 중도 탈락 및 학업 지속에 대한 문제를 연구해왔다. 그 결과 중도탈락 학습자의 비율이 결국 취업과 사회의 진출과 관련이 깊다는 점에서 대학생의 중도탈락 문제에 대해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7]. 반면, 국내에서는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는 경우는 드물었는데 이는 학적변동 사항인 휴학, 제적, 자퇴 등 중도 탈락에 대한 이유를 개인 수준의 문제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7].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환경에서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얼마나 학습몰입을 발휘하는지가 중요하다[8]. 학습몰입은 학생의 학업적, 사회적 적응을 위해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몰입 능력은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지며 몰입의 경험을 자주 하는 사람은 질적으로 향상된 삶을 살아간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몰입의 빈도가 높은 사람이 많은 사회일수록 당연히 높은 질의 삶이 전개되는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본다[30].

몰입(flow)은 매우 즐거운 상태로서 일의 무언가에 흠뻑 빠져있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하는데[9], 학습 과정에서의 몰입경험은 그 자체로 만족감이 되어 높은 성취로 직결된다[10]. 또한 몰입경험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학업적 역량과 목표수준이 향상되어 더 많은 학업에 도전하려는 경향이 나타나며, 이러한 일련의 경험들이 개인에게 유능감을 부여하고 학업을 지속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8,11]. 그렇기에 결론적으로 학습몰입은 학습의 질을 높이고 몰입 과정에서 얻어지는 정서적 만족감을 학업만족도 증진을 위한 촉매제의 역할로써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학업 수행 시 내적요인 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외적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데, 특히 사회적지지를 눈여겨 볼 수 있다.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학업 수행 중 발생하는 예측 불가능한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는 적응성이 높다. 충분한 사회적지지를 인식하는 대학생은 보다 바람직한 행동을 주도적으로 이끌게 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37].

대학생은 이전의 일률적이고 수동적인 환경에서 대학이라는 환경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사회문화적 생활에 적응하면서 겪게 되는 대부분을 독립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업을 안게 된다. 이러한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사회적지지는 사회적 관계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인 자원으로[12], 개인의 심리적 적응 및 문제해결능력을 강화하고[13] 도움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더 나아가 사회적지지는 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하여 학업성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나 사회 속에서 대학생들에게 긍정적 사회적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적응력과 안정감을 높여 학업성과에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대학생의 높은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 중 높은 학업만족도를 예로 들 수 있다. 대학생의 학업만족은 자신이 전공하는 학문분야와 수강하고 있는 수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반영한다. 특히 전공만족은 전공의 미래 전망에 대한 긍정적 기대, 적성과의 일치경험 등 전공분야에 대한 만족을 의미한다[38]. 학업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에 대한 열정과 의지가 향상될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학습자 자신이 학습에 만족할 때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여 이를 학업성취에 반영하게 되므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며 학업만족도가 지식 습득에 중요한 용인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39].

이처럼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사회적지지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며, 해당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를 확인하고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 정도를 확인한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확인한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의 대학생으로 하였으며 2022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구성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지의 URL을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임의 표집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듣고 설문지의 수신을 동의한 학생에게 URL을 발송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취지, 자료의 비밀보장과 익명성,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도(거부나 중도 포기 등) 불이익이 없음을 알리고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공지하였다. 문자를 전송받은 학생은 설명문을 읽고 자의적으로 설문지 참여에 동의한 후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입력하였다. 표본 수 결정은 G*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의 유의수준(α) .05, 검정력(1-β) .95, 중간수준의 효과크기(r) .15로 적용한 결과 응답을 제출한 174명의 설명 결과를 분석하였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일반적 특성 10문항, 사회적지지 25문항, 학습몰입 20문항, 학업만족도 15문항으로 총 7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 사회적지지

사회적지지 측정도구는 Park[14]이 개발하고 Cho[15]이 수정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총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한다. 조명실[15]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9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981이었다.

2) 학습몰입

학습몰입 측정도구는 Kim, Tack, Lee[16]가 Csikzentmihalyi[9]의 몰입 개념을 바탕으로 학습 상황에 적합하게 개발한 성인용 학습몰입검사를 사용하여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한다. Kim, Tack, Lee[16]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82.90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954이었다.

3) 학업만족도

학업만족도 측정도구는 Shin, Jung, Shin [17]와 Son, Lee[18]가 개발하고 이현준이 수정한 측정 문항을, Lee[19], Shon[20] 이 개발한 측정 문항을 사용하여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한다. Lee[19]의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 영역의 신뢰도 Cronbach`s α=.919, Shon[20]의 연구에서 문항 영역의 신뢰도 Cronbach`s α=.97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943이었다.

4) 학업성취도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자가 학점을 직접 기입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본 연구자들이 성적 기준을 분류하여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2.99 이하’ 1점, ‘3.00-3.24’ 2점, ‘3.25-3.49’ 3점, ‘3.50-3.74’ 4점, ‘3.75-3.99’ 5점, ‘4.00-4.24’ 6점, ‘4.25 이상’ 7점으로 평균 평점(4.5점 만점 기준)을 가장 낮은 점수가 1점, 가장 높은 점수가 7점으로 총 7문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4.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sion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으며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는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과 연구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남자 42.0%(73명), 여자 58.0%(101명)로 여자가 더 많았고, 나이에서는 20-21세가 31.0%(54명), 22-23세가 37.9%(66명), 24-25세가 23.7%(40명), 26세 이상이 5.3%(9명)로 22-23세가 가장 많았다. 소속대학에서는 일반대학(4년제) 83.9%(146명), 전문대학 16.1%(28명)로 일반대학(4년제)이 더 많았고, 학년에서는 1, 2학년 39.7%(69명), 3, 4학년 60.3%(105명)로 고학년이 더 많았다. 전공계열은 보건 관련 계열이 65.5%(114명), 그 외 다른 계열 34.5%(60명)로 보건 관련 계열이 많았고, 학과 선택 동기에서는 적성/취미, 취업 전망 같은 자의에 의한 동기가 67.8%(118명), 타인 권유, 성적 같은 타의에 의한 동기 및 기타가 32.2%(56명)로 자의에 의한 동기가 더 많았다. 경제활동(아르바이트) 유무에서는 ‘있다’ 50%(87명), ‘없다’ 50%(87명)로 같았다. 전공만족도에서는 ‘만족’ 63.8%(111명), ‘보통 이하’ 36.2%(63명)로 ‘만족’으로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사회적지지의 평균점수는 4.16점(±.75)이었으며, 학습몰입의 평균점수는 3.02점(±.81), 학업만족도의 평균점수는 3.63점(±.78), 학업성취도의 평균점수는 4.25점(±1.59)으로 나타났다<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dependent variables (N=174)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차이는 경제활동(t=-2.022, p=.045), 학과 선택 동기(t=3.462, p=.001), 전공만족도(t=-4.013,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아르바이트)이 없는 경우, 학과 선택을 자의로 선택한 경우, 전공만족도가 ‘만족’인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2>.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74)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몰입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몰입 차이는 학과 선택 동기(t=5.360, p=.000), 전공만족도(t=-5.724,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 선택을 자의로 선택한 경우, 전공만족도가 ‘만족’인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2>.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만족도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만족도 차이는 소속대학(t=2.378, p=.018), 학과 선택 동기(t=3.453, p=.001), 전공만족도(t=-7.135,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대학(4년제), 학과 선택을 자의로 선택한 경우, 전공만족도가 ’만족‘인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able 2>.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는 성별(t=-1.981, p=.049), 나이(F=3.440, p=.018), 학과 선택 동기(t=2.380, p=.018), 전공만족도(t=-3.126,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22-23세, 학과 선택을 자의로 선택한 경우, 전공만족도가 ‘만족’인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에 대해서는 셰페의 사후분석(Scheffé test)을 실시한 결과 나이는 26세 이상 대비 22-23세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3.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대상자의 학업성취도는 사회적지지(r=.228, p>.001), 학습몰입(r=.392, p<.001), 학업만족도(r=.253,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Table 3>.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N=174)

4.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회귀분석 전 연구변수들의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공차한계는 .275∼.741으로 0.1 이상이었으며,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VIF)는 1.350∼3.637로 기준치인 10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Durbin-Watson은 2.035으로 2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접한 오차항의 독립성도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는<Table 4>과 같다. 1단계에서는 일반적 특성 중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나이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그 결과 모델 1의 회귀식은 학업성취도를 4% 설명하였다. 2단계에서는 나이를 제어한 상태에서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를 추가로 투입하여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델2의 설명력은 20%로 증가하였으며 모델적합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8.605, p<.001). 학업성취도의 영향요인은 학업성취도의 영향요인은 연령과 학습몰입(β=.37, p<.001)이었다. 연령은 모든 그룹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20-21세 그룹(β=.40, p=.002), 22-23세 그룹(β=.50, p<.001), 24-25세 그룹(β=.34, p=.004)이었다<Table 4>.

Factor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N=174)

Ⅳ. 논 의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를 파악하고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는 평균평점 4.16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12]의 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대상자가 저학년보다 고학년의 비중이 높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목표에 대한 의지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주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목표를 수행하려는 모습이 나타남으로써 사회적지지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21].

학습몰입은 평균평점 3.02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8]의 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경우 국가고시를 통한 면허 취득을 위해 전공수업에 매진하기 때문에 학습몰입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학업만족도는 평균평점 3.63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21]보다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전공 관련 학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분야에서 진로준비행동을 시행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7].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양하므로 대상자나 학습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학업만족도가 학업성취도를 향상하는 데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난 선행연구[32]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먼저 사회적지지는 소속대학, 학과 선택동기, 전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문대학보다 일반대학이 사회적지지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선행연구[35]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사회적지지는 사회적 관계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인 자원이며 개인의 심리적 적응 및 문제해결능력을 강화하고 도움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12,13] 일반대학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학과선택이 ‘자의 선택’인 경우 사회적지지가 높았는데 이는 학교생활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나고 학교의 주변인과 상호교류를 형성함으로써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전공 만족도가 높은 경우 사회적지지가 높았는데 자신의 주변인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안정감, 사랑과 수용 등의 긍정적인 경험을 획득하고 대처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23] 이는 전공만족도가 높은 경우 학교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며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학습몰입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고학년이 학습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학업에 대한 의지가 높아져 학습몰입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선행연구[33] 결과와 일치하였다. 학업만족도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저학년이 고학년에 비해 학업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저학년인 경우 전공에 대한 기대감과 학업에 대한 의욕이나 열정이 고학년에 비해 높기 때문에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지며 고학년인 경우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나 취업에 대한 부담감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선행연구[34] 결과와 일치하였다.

학업성취도는 나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22-23세의 대학생이 26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을 제어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대체적으로 군복무를 마친 복학생, 재수나 휴학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거나 편입생으로 유추할 수 있으며 시간적 공백이 부적응으로 이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대학생활적응이 곧 학업적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Park & Song[30]의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Seo[21]의 연구와 결과가 일치하였다. 따라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연구대상자의 학업성취도의 영향 요인은 나이, 학습몰입이었다. 이는 [31,32]의 연구와 유사하였다. 학습몰입이 학습의 질을 높이고 몰입 과정에서 얻어지는 정서적 만족감이 학업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게 하고 이것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했을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높은 연령층의 대학생 대상으로 한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등 취약학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리 및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업적응은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이자[4,5] 학업성취도로 대변할 수 있다. 따라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한데 전형화된 수업형태에서 벗어나 분명한 학습목표설정과 학습에 대한 의지를 높이고, 배운 지식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대를 이끌어내는 수업방식, 전공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운영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및 학업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지지, 학습몰입, 학업만족도 모두 학업성취도의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사회적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며 학습몰입과 학업만족도의 향상을 위한 전공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이나 학습몰입과 학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업방식 운영 등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Park HS, Jeong KS.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3;19(4):549–57.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549.
2. Baker RW, Siryk B.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84;31(2):179–89.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3. Choi JY, Shin HS. Investigating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t high school on overal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t college: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going motivation.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2016;19(3):31–55. https://doi.org/10.36907/krivet.2016.19.3.31.
4. Lee IK, Kim JH. The effect of professor mentoring program for college freshmen's school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1;12(2):673–91. https://doi.org/10.15703/kjc.12.2.201104.673.
5. Hyun AN, Yoon SJ.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college freshmen:mediating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2;19(2):403–28.
6. Kim JD. Interviews with students under academic probation and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6;10(3):253–65. https://doi.org/10.21184/jkeia.2016.06.10.3.253.
7. Kim JW. American college students drop out:the relative importance of individual, social structure, and universiti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1992;10(1):17–48.
8. Lee JE. Learning flow, self-directedness,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who in non-face-to- fac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21;7(4):511–7. https://doi.org/10.17703/JCCT.2021.7.4.511.
9.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1st edth ed. San Francisco: Jossy Bass; 1975.
10. Yong J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flow state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1. Chuncheon, Korea:
11. Kang MS, Bang ER. The Analysis on the casual model between self-directedness,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and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14;20(4):443–67.
12. Ko TY.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2008. Muan, Korea:
13. Koo SS, Jeong OH, Jang SH. The relationships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9):225–37. https://doi.org/10.5392/JKCA.2011.11.9.225.
14.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985. Seoul, Korea:
15. Cho MS. The influence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late adolesc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07. Seoul, Korea:
16. Kim AY, Tack HY, Lee CH.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flow scale for adul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0;24(1):39–59.
17. Shin JC, Jung JS, Shin TS. Casual 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factors.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8;26(1):287–313.
18. Son KA, Lee DR. A study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1st edth ed. Seoul: The Next Korea Foundation; 2013. p. 333–47.
19. Lee HJ.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academic achievement:focusing on college admission types, private education, and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2017. Seoul, Korea:
20. Sohn KO. The development of junior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invent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Seoul, Korea:
21. Seo YJ. The effect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major commi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learning persistence by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2018. Seoul, Korea:
22. Song YS. The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life adjus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07. Seoul, Korea:
23. Cho HM. The influence of learner's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2019. Seoul, Korea:
24. Jun WH, Jo MJ, Na HJ. Relationships between anger expression, social suppor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3):219–28.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219.
25. Lee SJ. The effect of flow on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colleg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dergraduat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1;25(2):235–53.
26. Kim EJ.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r learning engagement and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15;16(3):107–29.
27. Shin HS, Jeong HG. Influences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satisfaction on career indecision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2019;10(5):1087–102. https://doi.org/10.22143/HSS21.10.5.78.
28. Kim YW, Jeon KH. The moder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satisfaction tha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of employed learners at a cyber university. Journal of Business Convergence 2021;6(3):33–40.
29. Lee JE. Learning flow, self-directedness,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ednts who in non-face-to- fac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2021;7(4):511–7. https://doi.org/10.17703/JCCT.2021.7.4.511.
30. Park I, Song GC.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Learn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for the out comes of learning.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12;12:109–30.
31. Jo SH. A study on the effects of learning commitment on career self-efficac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 focusing on after-school classes among cosmetolog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am University 2017. Gwangju, Korea:
32. Lee GH.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2011 Suwon, Korea
33. Cha YM, Eom WY.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f junior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flow.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015;9(1):83–105.
34. Bang YS, Kim HY.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coping style and learning motivation on life of health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take national examination. Journal of KOEN 2014;8(1):73–80.
35. Park YS. The effect of optimism,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for stres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Review 2012;16(2):113–38.
36. Seo ES, Chung KA.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a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2015;17(3):213–26. https://doi.org/10.17337/JMBI.2015.17.3.213.
37. Im YL. The Mediatio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2019. Seoul, Korea:
38. Nauta M. M. “Assessing college students'satisfaction with their academic majo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07;15(4):446–62.
39. Merriam SB. The new update on adult learning theory San Francisco: Jossey-Bass.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dependent variables (N=174)

Charadcteristics Category N (%) or M±SD
Gender Male 73(42.0%)

Female 101(58.0%)

Age(Year) 20-21 54(31.0%)

22-23 66(37.9%)

24-25 40(23.0%)

26≤ 14(8.0%)

Grade Junior 69(39.7%)

Senior 105(60.3%)

University 4-year University 146(83.9%)

Junior college 28(16.1%)

Major field Health-related fields 114(65.5%)

Others 60(34.5%)

Part-time job status Yes 87(50%)

No 87(50%)

Major selection motivation My opinion 118(67.8%)

Other`s opinion 56(32.2%)

Major satisfaction ≤Generally satisfied 63(36.2%)

Fairly satisfied 111(63.8%)

Social support 4.16±.75

Learning flow 3.02±.81

Learning satisfaction 3.63±.78

Academic achievement 4.25±1.59

Table 2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74)

Characteristics N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M±SD t or F P M±SD t or F P M±SD t or F P M±SD t or F P
Gender Male 73 4.11 ±.87 -0.820 .413 3.09 ±.89 0.964 .337 3.74±.87 1.661 .099 3.97 ±1.61 -1,981 .049




Female 101 4.20 ±.66 2.97 ±.75 3.54±.71 4.45 ±1.56

Age(Year) 20-21a 54 4.09 ±.87 2.177 .093 2.93 ±.96 1.050 .372 3.58 ±.98 0.209 .890 1.90 ±.83 3.440 .018 (b>d)




22-23b 66 4.34 ±.61 3.03 ±.83 3.61 ±.63 2.12 ±.69




24-25c 40 3.98 ±.64 2.98 ±.64 3.71 ±.65 1.82 ±.81




26 <d 14 4.12 ±1.06 3.36 ±.48 3.67 ±.97 1.35 ±.63

Grade Junior 69 4.11 ±.83 -0.690 .491 2.95 ±.93 -0.819 .414 3.65 ±.93 0.298 .766 4.28 ±1.58 0.246 .806




Senior 105 4.19 ±.70 3.06 ±.73 3.61 ±.68 4.22 ±1.61

University 4-year university 146 4.20 ±.69 1.157 .256 3.03 ±.79 0.593 .554 3.69 ±.74 2.378 .018 4.30 ±1.59 0.913 .363




Junior college 28 3.97 ±1.02 2.93 ±.95 3.31 ±.91 4.00 ±1.65

Major field Health-related fields 114 4.09 ±.79 -1.723 .087 3.08 ±.81 1.477 .141 3.61 ±.82 -0.466 .642 4.08 ±1.58 -1.891 .060




Others 60 4.30 ±.68 2.89 ±.81 3.67 ±.73 4.56 ±1.59

Part-time job status Yes 87 4.05 ±.83 -2.022 .045 3.03 ±.90 0.199 .843 3.56 ±.80 -1.147 .253 4.28 ±1.61 - 0.284 .777




No 87 4.28 ±.65 3.00 ±.72 3.70 ±.77 4.21 ±1.59

Major selection motivation My opinion 118 4.31 ±.62 3.462 .001 3.23 ±.73 5.360 .000 3.77 ±.67 3.453 .001 4.44 ±1.52 2.380 .018




Other’s opinion 56 3.85 ±.91 2.57 ±.80 3.34 ±.93 3.83 ±1.69

Major satisfaction ^Generally satisfied 63 3.84 ±.90 -4.013 .000 2.58 ±.67 -5.724 .000 3.13 ±.80 -7.135 .000 3.76 ±1.64 -3.126 .002




Fairly satisfied 111 4.35 ±.59 3.26 ±.79 3.91 ±.62 4.53 ±1.51

Table 3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N=174)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1

Learning flow .339(<.001) 1

Learning satisfaction .544(<.001) .486(<.001) 1

Academic achievement .228(.002) .392(<.001) .253(.001) 1

Table 4

Factor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N=174)

Model Model 1 Model 2

B β t p B β t p
(Constant) 3.14 7.50 .000 -.15 -.19 .843

Age(26≤=ref.)

20-21 1.06 .30 2.25 .025 1.39 .40 3.22 .002

22-23 1.44 .44 3.14 .002 1.67 .50 3.94 .000

24-25 1.00 .26 2.07 .040 1.29 .34 2.90 .004

Social support .10 .05 .60 .544

Learning flow .74 .37 4.82 .000

Learning satisfaction .09 .04 .53 .592

R2 .057 .236

Adjusted R2 .041 .209

F 3.440 (.018) 8.60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