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Emerg Med Ser Search

CLOSE


Korean J Emerg Med Ser > Volume 27(1); 2023 > Article
연령대별 사망 중증외상환자의 특성 비교

Abstract

Purpose:

In patients with major trauma, mortality varies by ag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edictors of death according to age.

Methods:

Data from the Community-Based Severe Trauma Survey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a retrospective case-control design.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were identified by age using independent-samples t-tests, Welch’s test, and χ2 test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rtality by sex (p=.006), location (p=.029), mechanism of injury (MOI) (p<.001), intention (p<.001), transportation (p<.001), surgery (p<.001), and Injury Severity Score (ISS) (p<.001) in the ≤44 years age group; by location (p<.001), MOI (p=.004), intention (p<.001), transportation (p<.001), surgery (p<.001), and ISS (p<.001) in the 45-54 years age group; by location (p=.040), MOI (p<.001), transportation (p<.001), transfusion (p<.001), surgery (p<.001), and ISS (p<.001) in the 55-64 years age group; by location (p=.015), intention (p<.001), surgery (p<.001), and ISS (p<.001) in the 65-74 years age group; and by location (p=.002), intention (p<.001), transfusion (p=.020), surgery (p<.001), and ISS (p<.001) in the ≥75 years age group.

Conclusion:

In patients with major trauma, predictors of mortality varied by age.

Ⅰ. 서 론

2021년 우리나라 외상환자는 166곳의 응급의료센터에 193,921명이 내원했고 응급의료센터 내원환자의 26.5%를 차지했으며 최종 진료결과 2.9%(5,673명)가 사망했다[1]. 연구에 따르면 잠재적으로 예방 가능한 사망(potentially preventable death)이 35.2%였으며 예방 가능한 사망을 초래한 오류가 응급실 단계 51.2%, 병원전 구급 단계 30.3%, 병원 간 이송 단계 60.8%로 나타났다[2]. 외상환자는 결정적인 처치로 충분히 생존할 수 있으므로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을 낮추기 위해서는 황금시간(golden hour) 내에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권역외상센터로 이송해야 하며 권역외상센터는 이를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 응급의료 기본계획에 의하면 2022년까지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23%로 낮추려 하고 있다[3].
중증 외상(major trauma) 자료의 통일된 보고를 위한 유스타인 양식(the Utstein style)에 따르면 환자 요인, 손상 상황 요인, 체계 요인 가운데 생존을 결정하는 요인들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 바 있다[4]. 환자 요인인 나이는 외상 결과에 대한 예측 인자로써 사망률은 같은 중증도의 손상을 입었다면 45-55세에 높아지며 75세 이상이면 45세와 비교해 두 배로 늘어난다. 나아가 노인 외상은 합병증 위험, 중환자실 치료 기간, 입원 기간 등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5-11].
최근의 메타분석에서도 기저질환, 낮은 글래스고혼수점수(Glasgow Coma Score: GCS), 뇌 손상 시 낮은 수축기 혈압, 심하거나 다수손상이 노인 외상환자의 초기 사망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노인 가운데 75세 이상 환자가 65-74세 환자보다 사망률이 높아서 나이가 중요 요인이었다[12]. 일부 나이군과 노인 외상환자의 사망률을 비교한 연구는 있었지만[13-17] 각 나이군에 따른 외상환자의 사망 요인을 밝힌다면 나이에 따른 위험 요인을 확인할 수 있어 외상 사망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이가 중증외상환자의 사망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나이군에 따른 사망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외상환자 소생률 제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범위

2019년-2020년에 질병관리청의 자료조사와 수집을 거쳐 통계청의 국가통계로 승인 후(승인번호 제117105호), 국가손상정보포털(http://kdca.go.kr/injury)을 통해 공개하고 있는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의 2019년 통계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했다[18]. 질병관리청 공공데이터인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2019년 원시자료 60,407건 가운데 연구대상 변인기록 누락 7,106건, 비외상성 중증손상 10,757건, 손상중증도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15점 이하 35,763건을 제외한 중증외상 6,781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는 119구급대가 중증외상, 비외상성 중증손상, 다수사상 등의 환자를 이송한 응급의료기관에 전문조사원이 방문하여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을 확인하고 조사표에 따라 기록하였다. 조사문항은 미국의 National Trauma Data Bank(NTDB), 영국의 The Trauma Audit & Research Network(TARN)와 같은 국제적인 외상 레지스트리를 참고하였고 국내 자료수집의 현실을 감안하여 수정・보완하였다.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조사자료 중 의료기관 코드번호, 환자식별번호 등 개인식별이 가능한 변인은 제외된 상태로 제공되었다.

2. 측정도구

후향적 대조군 연구방법(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으로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 자료를 연구목적에 맞게 정리하여 나이에 따라 사망과 생존의 요인을 비교하였다.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내용 가운데 선행연구와 중증 외상 자료의 통일된 보고를 위한 유스타인 양식를 참고하여 독립변인은 나이, 성별, 손상장소, 손상기전, 손상의도, 이송병원, 수혈, 수술, 중증손상도로 선정하였고 종속변인은 사망여부로 선정하였다[4].
45-55세 이후 외상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나이군은 44세 이하(대상자가 적어서 한 군으로 합함) 및 10세 단위로 75세 이상(대상자가 적어서 한 군으로 합함) 등 5개 군으로 나누었다. 손상중증도점수는 신체를 6개의 부위(두경부, 안면부, 흉부, 복부, 사지, 신체표면)로 나눠 각 신체 부위의 손상별 중증도를 간편손상척도(Abbreviate Injury Scale: AIS) 1-6점을 할당하고 중증도가 심한 상위 3개 부위의 제곱합을 계산한 것이었다. 이 가운데 16점 이상을 심한 손상(serious: 16-24점), 생명위협 심한 손상(severe: 25-49점), 긴급 손상(critical: 50-74점), 생존불가 손상(maximum: 75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사망은 병원 의무기록을 정리한 것이었다[19].

3. 자료수집 및 분석

자료는 SPSS 20.0 for Windows(IBM Inc, New York, USA)를 사용하여 α=.05 유의수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으로 범주형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연속형 변인은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사망과 생존의 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 t-검증, Welch 검증 및 나이군에 따라 χ2 검증을 하였다.

Ⅲ. 연구결과

손상중증도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16점 이상인 중증손상 6,781건의 일반적 특성을 정리한 결과, 44세 이하군이 1,843명(27.1%)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나이는 54.7세로 나타났으며 남성이 5,009명(73.9%)을 차지했다. 손상장소는 집이 1,418건(20.9%)으로 많았으나 확인되지 않은 경우가 3,085건(45.5%)으로 가장 많았다. 손상기전은 교통사고 3,886건(57.3%)과 추락 2,460건(36.3%)이 다수를 차지했고 의도성 없는 손상이 5,965건(88.0%)으로 많았다. 이송병원은 권역외상센터가 2,773건(40.9%)으로 가장 많았고 수혈이 4,241건(62.6%), 수술이 3,802건(56.1%)으로 나타났다. 중증손상도(ISS>15)는 심한 손상이 4,118건(60.7%)과 생명위협 심한 손상이 2,503건(36.9%)으로 다수를 차지했고 평균 24.0점이었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N=6,781)
Charicteristics N(%)
Age
 44≥ 1,843(27.1)
 45-54 1,111(16.4)
 55-64 1,594(23.5)
 65-74 1,101(16.2)
 75≤ 1,132(16.8)
 M(SD)* 54.7(19.4)

Sex
 Male 5,009(73.9)
 Female 1,772(26.1)

Location
 Home 1,418(20.9)
 Housing facility 1,023(15.1)
 Educational facility 991(14.6)
 Medical facility 264(3.9)
 Unknown 3,085(45.5)

MOI**
 Traffic accident 3,886(57.3)
 Fall 2,460(36.3)
 Blunt 223(3.3)
 Others 212(3.1)

Intentional
 Yes. 429(6.3)
 No. 5,965(88.0)
 Unknown 387(5.7)

Transportation
 Regional trauma center 2,773(40.9)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1,276(18.8)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2,130(31.4)
 Local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602(8.9)

Transfusion
 Yes. 4,241(62.6)
 No. 2,540(37.4)

Surgery
 Yes. 3,802(56.1)
 No. 2,979(43.9)

ISS***
 Serious 4,118(60.7)
 Severe 2,503(36.9)
 Critical 47(0.7)
 Maximum 113(1.7)
 M(SD)* 24.0(9.6)

* M(SD): mean(standard deviation)

** MOI: mechanism of injury

*** ISS: injury severity score, serious: 16-24, severe: 25-49, critical: 50-74, maximum: 75

중증외상환자 6,781명 가운데 2,337명(34.5%)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률 34.5%를 초과하는 경우는 75세 이상군(47.8%)과 65-74세 군(37.8%), 집(41.3%), 추락/낙상(36.7%), 의도성(49.4%), 지역응급의료기관(50.2%)과 권역응급의료센터(37.3%), 미수혈(36.5%), 수술(47.7%), 생존불가 손상(87.6%)과 긴급 손상(61.7%) 및 생명위협 심한 손상(44.3%)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과 사망 여부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χ2를 적용하였다. 나이, 성별, 손상장소, 손상기전, 손상의도, 이송병원, 수혈, 수술, 중증손상도 등과 사망 여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p=.046; p<.001; p=.004; p<.001; p<.001; p=.006; p<.001; p<.001)가 각각 있었다. 75세 이상군의 사망률(47.8%)이 가장 높았고 44세 이하군의 사망률(29.3%)은 가장 낮았다.
t-검증 결과, 평균 나이는 사망군 57.5세, 생존군 53.2세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남성(27.6%), 집(41.3%), 추락/낙상(36.7%)과 교통사고(33.6%), 의도성(49.4%), 지역응급의료기관(50.2%), 비수혈(36.5%), 수술(47.7%), 생존불가 손상(87.6%)과 긴급 손상(61.7%)의 사망률이 높았다. t-검증 결과, 평균 중증손상도(ISS>15)는 사망군 26.9점, 생존군 22.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Table 2>.
Table 2
Comparison between death and survival in major trauma (N=6,781)
Variables N(death rate) N(survival rate) p
Case 2,337(34.5) 4,444(65.5)

Age <.001
 44≥ 540(29.3) 1,303(70.7)
 45-54 358(32.2) 753(67.8)
 55-64 482(30.2) 1,112(69.8)
 65-74 416(37.8) 685(62.2)
 75≤ 541(47.8) 591(52.2)
 M(SD)* 57.5(19.9) 53.2(18.9) <.001

Sex .046
 Male 1,692(27.6) 3,317(72.4)
 Female 645(25.4) 1,127(74.6)

Location <.001
 Home 586(41.3) 832(58.7)
 Housing facility 284(27.8) 739(72.2)
 Educational facility 277(27.9) 714(72.1)
 Eedical facility 85(32.2) 179(67.8)

MOI** .004
 Traffic accident 1,306(33.6) 2,580(66.4)
 Fall 904(36.7) 1,556(63.3)
 Blunt 62(27.8) 161(72.2)

Intentional <.001
 Yes. 212(49.4) 217(50.6)
 No. 1,844(30.9) 4,121(69.1)

Transportation <.001
 Regional trauma center 828(29.9) 1,945(70.1)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476(37.3) 800(62.7)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731(34.3) 1,399(65.7)
 Local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302(50.2) 300(49.8)

Transfusion .006
 Yes. 1,410(33.2) 2,831(66.8)
 No. 927(36.5) 1,613(63.5)

Surgery <.001
 Yes. 1,813(47.7) 1,989(52.3)
 No. 524(17.6) 2,455(82.4)

ISS*** <.001
 Serious 1,100(26.7) 3,018(73.3)
 Severe 1,109(44.3) 1,394(55.7)
 Critical 29(61.7) 18(38.3)
 Maximum 99(87.6) 14(12.4)
 M(SD)* 26.9(12.6) 22.5(7.0) <.001

* M(SD): mean(standard deviation)

** MOI: mechanism of injury

*** ISS: injury severity score, serious: 16-24, severe: 25-49, critical: 50-74, maximum: 75

나이군에 따라 각 변인과 사망 여부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χ2를 적용하였다. 44세 이하군은 성별, 손상장소, 손상기전, 손상의도, 이송병원, 수술, 중증손상도 등과 사망 여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6; p=.029; p<.001; p<.001; p<.001; p<.001; p<.001)가 각각 있었다. 45-54세 군은 손상장소, 손상기전, 손상의도, 이송병원, 수술, 중증손상도 등과 사망 여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p=.004; p<.001; p<.001; p<.001; p<.001)가 각각 있었다. 55-64세 군은 손상장소, 손상의도, 이송병원, 수혈, 수술, 중증손상도 등과 사망 여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40; p<.001; p<.001; p<.001; p<.001; p<.001)가 각각 있었다. 65-74세 군은 손상장소, 손상의도, 수술, 중증손상도 등과 사망 여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5; p<.001; p<.001; p<.001)가 각각 있었다. 75세 이상군은 손상장소, 손상의도, 수혈, 수술, 중증손상도 등과 사망 여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2; p<.001; p=.020; p<.001; p<.001)가 각각 있었다. Welch 검증 결과, 나이군에 따른 평균 중증손상도(ISS>1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348)가 없었다.
사망률은 75세 이상에서 남성(49.5%)과 여성(45.3%), 집(55.6%)과 의료기관(50.7%), 교통사고(49.9%)와 추락/낙상(44.0%), 비의도성(86.1%), 비수혈(52.6%)과 수혈(45.3%), 수술(54.0%) 시에 높았다. 그 이외에 44세 이하군에서 지역응급의료기관 이송(54.9%), 65-74세 군에서 중증손상도 긴급(100.0%) 시에 사망률이 높았다. 그리고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된 환자군은 44세 이하(54.9%), 45-54세 (53.6%), 55-64세 (48.0%), 65-74세 (47.8%)에서 사망률이 높았다<Table 3>.
Table 3
Comparison of death in major trauma by age
Variables N(death rate)

44≥ 45-54 55-64 65-74 75≤
Sex
 Male 381(27.6) 282(31.8) 384(30.1) 313(38.6) 332(49.5)
 Female 159(34.3) 76(33.8) 98(29.4) 103(35.5) 209(45.3)
p .006 .576 .718 .354 .170

Location
 Home 80(29.8) 74(36.1) 126(37.9) 118(42.9) 188(55.6)
 Housing facility 85(24.6) 52(27.5) 79(28.3) 47(33.3) 21(30.4)
 Educational facility 108(24.5) 12(11.7) 36(25.5) 36(28.6) 85(47.2)
 Medical facility 2(4.9) 10(32.3) 21(32.8) 18(29.5) 34(50.7)
p .029 <.001 .040 .015 .002

MOI*
 Traffic accident 278(24.9) 151(28.0) 274(32.1) 241(37.0) 362(49.9)
 Fall 262(36.1) 207(36.2) 208(28.1) 175(38.9) 179(44.0)
p <.001 .004 .085 .530 .054

Intentional
 Yes. 345(23.6) 277(28.5) 413(27.9) 350(34.4) 459(44.3)
 No. 88(38.4) 39(48.8) 30(54.5) 24(82.8) 31(86.1)
p <.001 <.001 <.001 <.001 <.001

Transportation
 Regional trauma center 198(22.8) 129(27.6) 176(26.8) 149(36.7) 176(46.9)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125(33.7) 71(35.0) 93(32.1) 84(38.1) 103(53.6)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161(32.1) 113(31.7) 151(29.1) 127(35.4) 179(45.3)
 Local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56(54.9) 45(53.6) 62(48.0) 56(47.8) 83(48.8)
p <.001 <.001 <.001 .107 .285

Transfusion
 Yes. 334(29.4) 213(33.0) 282(27.2) 241(35.6) 340(45.3)
 No. 206(29.1) 145(31.2) 200(35.8) 175(41.2) 201(52.6)
p .855 .529 <.001 .066 .020

Surgery
 Yes. 461(48.6) 265(47.8) 354(41.4) 305(46.8) 428(54.0)
 No. 79(8.8) 93(16.7) 128(17.3) 111(24.7) 113(33.3)
p <.001 <.001 <.001 <.001 <.001

ISS**
 Serious 263(22.8) 178(26.0) 221(22.6) 184(28.0) 254(39.4)
 Severe 242(37.9) 154(38.9) 235(40.2) 214(50.8) 264(571)
 Critical 7(41.2) 6(66.7) 5(62.5) 6(100.0) 5(71.4)
 Maximum 28(87.5) 20(90.1) 21(91.3) 12(70.6) 18(94.7)
p <.001 <.001 <.001 <.001 <.001
 M(SD)*** 27.5(13.5) 27.3(14.0) 26.9(12.6) 26.7(11.4) 26.0(11.6)
 Welch; p .348

* MOI: mechanism of injury

** ISS: injury severity score, serious: 16-24, severe: 25-49, critical: 50-74, maximum: 75

*** M(SD): mean(standard deviation)

Ⅳ. 고 찰

전체 사망률을 초과한 경우는 집에서의 손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주된 활동 공간으로써 일반적인 심정지 빈발 장소와 같았다[20]. 추락/낙상도 이미 확인된 외상 사망 요인으로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21]. 지역응급의료기관과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사망률이 초과된 이유는 전자의 경우에는 수술이 가능하지 않은 병원으로 이송했고 후자의 경우에는 심각한 손상으로 생존하기 힘들었던 환자를 이송했다고 추정된다. 그 근거로 전자의 경우에는 미수혈, 후자의 경우에는 수술을 실시했을 개연성이 있으며 이 두 요인에서 사망률이 초과하여 나타났다.
근본적으로 생존불가 손상과 긴급 손상 및 생명위협 심한 손상이 작용하여 사망률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손상중증도점수와 사망률에 있어 정의 상관관계로 설명될 수 있다[22]. 사망군의 중증손상도 점수가 높았던 이 연구의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손상중증도점수(ISS)는 활력징후와 같은 생리적 지표를 포함한 점수(TRauma and Injury Severity Score: TRISS)나 6개 신체 부위에 상관없이 중증도가 심한 순서대로 상위 3곳 점수의 자승합으로 관통상에 부합하는 점수(New Injury Severity Score: NISS)와 비교하여 환자에 따라 제한이 따를 수 있다[23].
나이군에 따른 중증손상도에 차이는 없었고 44세 이하군은 수혈, 45-54세 군은 성별, 55-64세 군은 성별, 손상기전, 65-74세 군은 성별, 손상기전, 이송병원, 수혈, 75세 이상은 성별, 손상기전, 이송병원이 사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나이 증가에 따라 사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들이 증가했지만 사망군의 평균 나이가 생존군 보다 많았다는 점은 나이가 사망 요인으로 강하게 작용했다는 방증으로 보이며 나이가 사망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부합한다[15,24,25]. 생존군 보다 사망군의 나이가 많았고 75세 이상군에서 집과 의료기관, 교통사고와 추락/낙상, 비의도성, 비수혈과 수혈, 수술 시에 사망률이 높았던 사실과 65세 이상군에서 사망률이 초과했던 사실은 이를 뒷받침 한다.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된 환자군의 높은 사망률은 환자평가에 따른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을 하지 않았던 결과라고 해석된다. 응급, 준응급, 비응급 환자에 따른 이송의료기관의 선정에 차이가 없었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다[26]. 황금시간(golden hour) 내에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중증외상환자를 권역외상센터로 이송해야 한다. 이를 위해 119구급대원현장응급처치표준지침의 적용을 강화하고 질관리를 통해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후향적 대조군 연구방법으로 질병청의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 자료에서 연구목적에 맞는 일부 자료를 정리하였으므로 요인 선정에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기왕력(pre-existing conditions)과 투약(medication), 생리적 변인(physiological variables) 등 노인 중증외상환자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지 못했다[27-29]. 후속 연구에서는 병원 의무기록을 추가한 연구로 중증외상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Ⅴ. 결 론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자료를 근거로 손상중증도점수(ISS) 16점 이상인 중증손상 6,781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나이군에 따른 중증외상 사망 요인의 일정한 양상을 확인하지 못했으나 성별, 손상장소, 손상기전, 손상의도, 이송병원, 수술, 중증손상도와 사망 여부 간에 차이를 확인하였다. 나이에 따른 중증손상도에서 차이가 없었음에도 사망군의 평균 나이는 생존군 보다 많아 나이가 사망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된 환자의 경우에는 나이가 아닌 심한 손상이 사망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나타나 부적절한 의료기관으로의 이송이 사망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References

1.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21 Statistical Yearbook of Emergency Medical (No.20) Available at: http://www.e-gen.or.kr/nemc/main.do,2022.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Medical Management. Preventable trauma mortality assessment: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survey method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asic plan for emergency medical care from 2018 to 2022 Available at: http://www.mohw.go.kr/,2018.

4. Dick WF, Baskett PJ. Recommendations for uniform reporting of data following major trauma—the Utstein style:A report of a working party of the International Trauma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Society (ITACCS). Resuscitation 1999;42(2):81-100. https://doi.org/10.1016/S0300-9572(99)00102-1
crossref pmid
5. Finelli FC, Jonsson J, Champion HR, Morelli S, Fouty WJ. A case control study for major trauma in geriatric patients. J Trauma 1989;29(5):541-8. https://doi.org/10.1097/00005373-198905000-00001
crossref pmid
6. Oreskovich MR, Howard JD, Copass MK, Carrico CJ. Geriatric trauma:injury patterns and outcome. J Trauma 1984;24(7):565-72
pmid
7. Champion HR, Copes WS, Buyer D, Flanagan ME, Bain L, Sacco WJ. Major trauma in geriatric patients. Am J Public Health 1989;79(9):1278-82. https://doi.org/10.2105/ajph.79.9.1278
crossref pmid pmc
8. Smith DP, Enderson BL, Maull KI. Trauma in the elderly:determinants of outcome. South Med J 1990;83(2):171-7. https://doi.org/10.1097/00007611-199002000-00010
crossref pmid
9. Hannan EL, Mendeloff J, Farrell LS, Cayten CG, Murphy JG. Multivariate models for predicting survival of patients with trauma from low falls:the impact of gender and pre-existing conditions. J Trauma 1995;38(5):697-704. https://doi.org/10.1097/00005373-199505000-00004
crossref pmid
10. Gubler KD, Davis R, Koepsell T, Soderberg R, Maier RV, Rivara FP. Long-term survival of elderly trauma patients. Arch Surg 1997;132(9):1010-4. https://doi.org/10.1001/archsurg.1997.01430330076013
crossref pmid
11. Zietlow SP, Capizzi PJ, Bannon MP, Farnell MB. Multisystem geriatric trauma. J Trauma 1994;37(6):985-8. https://doi.org/10.1097/00005373-199412000-00020
crossref pmid
12. Sammy I, Lecky F, Sutton A, Leaviss J, O'Cathain A. Factors affecting mortality in older trauma patients-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jury 2016;47(6):1170-83. https://doi.org/10.1016/j.injury.2016.02.027
crossref pmid
13. Berry C, Ley EJ, Bukur M, Malinoski D, Margulies DR, Mirocha J, et al. Redefining hypotens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Injury 2012;43(11):1833-7. https://doi.org/10.1016/j.injury.2011.08.014
crossref pmid
14. Bouamra O, Wrotchford A, Hollis S, Vail A, Woodford M, Lecky F. A new approach to outcome prediction in trauma:A comparison with the TRISS model. J Trauma 2006;61(3):701-10. https://doi.org/10.1097/01.ta.0000197175.91116.10
crossref pmid
15. Caterino JM, Valasek T, Werman HA. Identification of an age cutoff for increased mortality in patients with elderly trauma. Am J Emerg Med 2010;28(2):151-8. https://doi.org/10.1016/j.ajem.2008.10.027
crossref pmid
16. Curtis KA, Mitchell RJ, Chong SS, Balogh ZJ, Reed DJ, Clark PT, et al. Injury trends and mortality in adult patients with major trauma in New South Wales. Med J Aust 2012;197(4):233-7. https://doi.org/10.5694/mja11.11351
crossref pmid
17. Kuhne CA, Ruchholtz S, Kaiser GM, Nast-Kolb D. Mortality in severely injured elderly trauma patients--when does age become a risk factor? World J Surg 2005;29(11):1476-82. https://doi.org/10.1007/s00268-005-7796-y
crossref pmid
18.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orea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2004-2019) Available at: http://www.kdca.go.kr/injury/,2022.

19.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19 Community-based severe trauma survey Available at: http://www.kdca.go.kr/injury/,2022.

20. Kim JH, Uhm TH. Survival to admission afte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n Seoul, South Korea. Open Access Emerg Med 2014;6:63-8. https://doi.org/10.2147/oaem.s6∶
crossref pmid pmc
21. Dinh MM, Roncal S, Byrne CM, Petchell J. Growing trend in older patients with severe injuries:mortality and mechanisms of injury between 1991 and 2010 at an inner city major trauma centre. ANZ J Surg 2013;83(1-2):65-9. https://doi.org/10.1111/j.1445-2197.2012.06180.x
crossref pmid
22. Boyd CR, Tolson MA, Copes WS. Evaluating trauma care:the TRISS method. J Trauma 1987;27(4):370-8
pmid
23. Uhm TH, Kim JH, Park SK, Kwag EJ, Kim MS, Sin SY. Exploratory study on trauma scoring systems for SAVE triage. Fire Sci Eng 2020;34(5):98-103. https://doi.org/10.7731/KIFSE.e0a1650a
crossref
24. Fatovich DM, Jacobs IG, Langford SA, Phillips M. The effect of age, severity, and mechanism of injury on risk of death from major trauma in Western Australia. J Trauma Acute Care Surg 2013;74(2):647-51. https://doi.org/10.1097/ta.0b013e3182788065
crossref pmid
25. Belzunegui T, Gradín C, Fortún M, Cabodevilla A, Barbachano A, Sanz JA. Major trauma registry of Navarre (Spain):the accuracy of different survival prediction models. Am J Emerg Med 2013;31(9):1382-8. https://doi.org/10.1016/j.ajem.2013.06.026
crossref pmid
26. Park SK, Uhm TH. Evaluation of patient transportation and response intervals among emergency medical squads. Korean J Emerg Med Ser 2018;22(3):47-54. https://doi.org/10.14408/KJEMS.2018.22.3.047
crossref
27. Bergeron E, Rossignol M, Osler T, Clas D, Lavoie A. Improving the TRISS methodology by restructuring age categories and adding comorbidities. J Trauma 2004;56(4):760-7. https://doi.org/10.1097/01.ta.0000119199.52226.c0
crossref pmid
28. Gabbe BJ, Magtengaard K, Hannaford AP, Cameron PA. Is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useful for predicting trauma outcomes? Acad Emerg Med 2005;12(4):318-21. https://doi.org/10.1197/j.aem.2004.12.002
crossref pmid
29. Champion HR. Trauma scoring. Scand J Surg 2002;91(1):12-22. https://doi.org/10.1177/145749690209100104
crossref pmi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46, Hwangjo-gil, Dogye-eup, Samcheok-si, Gangwon-do, 25949, Republic of Korea
Tel: +82-33-540-3342    Fax: +82-33-540-3349    E-mail: kjems119@naver.com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