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정보공시를 통한 3년제 응급구조과의 주요 지표 분석

Analysis of major indicators of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college through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20;24(3):29-40
이정은,orcid_icon, 고봉연orcid_icon, 홍성기orcid_icon
동남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Dongnam Health University
* Correspondence to Jung Eun Le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Dongnam Health University, 50 Cheoncheon-ro, 74-gil Jangan-gu, Suwon, Gyeonggi-do, 16328, Republic of Korea Tel: +82-31-249-6563 Fax: +82-31-249-6560 E-mail: lije@dongnam.ac.kr

본 연구는 동남보건대학교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

Received 2020 November 4; Revised 2020 December 16; Accepted 2020 December 18.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ality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department by analyzing the major indicators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and find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by reviewing various evaluation indices.

Methods:

This study is a survey of 24 colleges with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and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departments across the country. Quantitative index data from 2017 to 2019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center web site.

Results: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are generally higher than the target colleges in quantitative indicators, but the indices are somewhat insufficient in terms of “rate of faculty in full service” and “research performance of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recommend increasing the low indicator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대학은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같은 급격한 사회변화 한가운데 있으며, 교육소비자의 관심 급증, 대학 간 경쟁 심화, 정부의 투명성 확보 및 자율화 요구 등 사회·정책적 환경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이렇게 대학은 사회로부터 학교운영의 효율성과 공공성 그리고 투명성을 강하게 요구받고 있다. 1996년 정보공개법 제정과 그 시기를 같이하여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확산은 모든 공공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과 온라인상에서 민원처리를 가능하게 했다[1]. 대학정보공시는 2004년 대학구조개혁 방안에서 최초로 도입이 제기되었으며, 이후 대학정보공시제 시행의 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2008년 12월 대학의 주요정보를 대학알리미(academyinfo.go.kr)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확인할 수 있는 고등교육기관의 주요 정보를 공개하는 제도로 시행되었다[2,3]. 대학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공시되고 있는 대학정보공시는 대학교육개발협의회(KEDI)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공시 항목은 2007년 첫 시행 이후 그 내용과 영역이 조금씩 수정 보완되었고 내용과 형식면에서 구체화 되어 2020년 현재 학교운영, 학생, 교원, 연구·산학협력, 예결산, 교육여건 등 총 14개 분야의 62개로 구성되어 있다[4].

대학정보공시제는 교육행위자들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로 국민에게 교육에 관한 정보를 공시하여 국민의 알권리, 학습권, 학부모의 교육권 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5,6]. 또한 학생·학부모, 산업체, 정부 등의 학교선택, 산학협력 및 직원채용, 정책집행 시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학술 및 정책연구 진흥 및 학교 교육에 대한 참여와 교육행정의 투명성 제고에 도움을 주고 있다[3,7]. 따라서 대학알리미 정보를 이용하는 정보이용자 층은 정부 행정관계자, 대학관계자, 학생, 학부모 등 다양하며 지속적으로 대학의 정보를 얻는 정보이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8-10].

이렇듯 대학정보공시 자료는 대학 간 경쟁을 통한 질 제고를 촉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정부의 고등교육 평가 및 정책 수립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대학구조개혁평가, 대학기본역량진단, 전문대학 평가인증 등 많은 대학평가에서 정보공시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2015년 공시정보는 정부의 대학기관평가인증, 국가장학금사업, 외국인 유학생 교육관리역량 인증제 평가 등의 주요 평가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주요 평가지표로 활용되는 공시 항목은 신입생 충원 현황,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확보율, 외국인 전임교원 현황, 각종 회계지표, 등록금 현황, 장학금 수혜현황 등이 있다[7].

전문대학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기술과 직업 실무를 중점으로 실질적인 직업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 고등교육법 제47조에 의하면 ‘전문대학은 사회 각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재능을 연마하여 국가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전문직업인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11].

현재 우리나라의 전문대학은 어려운 운영실정과 더불어 저출산,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정체성과 존립의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학령인구감소에 따른 입학 가능 학생 수 감소로 인해 2018학년도 대학 정원이 유지될 경우 2024년에는 약 12.4만 명의 입학생 부족이 예상된다. 학생 수 급감, 등록금 수입 감소로 인한 재정난으로 전문대학은 운영상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정원감축, 기능 개편 등 적정규모로의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12].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미충원 및 대학 경쟁력 하락이 우려됨에 따라 정부는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를 도입하였으나[13], 대학 구조개혁 평가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결과활용과 대학의 지표적용, 평가운영 등에서 표출된 다양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학 구조개혁 평가를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으로 개선하게 되었다[14]. 2021년에 계획된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지표[12]에서 보면 55% 이상이 정량지표로서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 사회 변화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학과 학과가 스스로 혁신하여 교육 역량을 키우는 질적 개선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여 현 상황을 진단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대학정보공시에 대한 연구는 Jung[15]과 Han[16] 등의 연구에서와 같이 정보공시자료를 이용한 대학의 특성 분석이나 대학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공시정보 활용에 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한편 응급구조과는 1995년 처음 개설되었으며, 2019년 기준 국내 응급구조(학)과가 있는 대학은 41개 대학(3년제-24개 대학, 4년제-17개 대학)으로 수도권에는 4개 대학(3년제-2개 대학, 4년제-3개 대학)만 개설되어 있어 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응급구조과에 재학중인 학생수는 2017년 4,971명, 2018년에는 5,473명이며, 평균 취업률은 2017년 71.5%, 2018년 68.3%이었다. 전국 응급구조(학)과의 전임교수 평균 인원은 2017년, 2018년 모두 3.9명이었다[17].

응급구조과가 개설된 지 25년이 지났으며, 아직 개설 역사는 길지 않으나 명실상부 보건계열의 학과로 높은 재학생충원율과 신입생 경쟁률로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위와 같은 학령인구 감소로 전문대학은 존속을 위하여 발전방향을 제고해야 하는 시점에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경쟁력 있는 응급구조과로 남기 위해서 응급구조과의 학과 경쟁력을 제고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정보공시센터의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정보공시 항목의 자료를 수집하여 주요 정량지표를 조사하여 응급구조과의 현실을 직시하고 응급구조과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사회적 요구를 실현하고 경쟁력있는 학과로 남기위해서 응급구조과의 학과 경쟁력을 제고해 보기 위하여 대학정보공시센터의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정보공시 항목의 자료를 수집하여 주요 정량지표를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여 응급구조과의 현실을 직시하고 발전방안 모색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며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대상 대학의 일반적인 현황과 주요지표 현황을 파악한다.

  • 2) 응급구조과의 학생현황, 교육여건, 교육연구성과와 대학재정 관련 지표를 파악한다.

  • 3) 응급구조과의 주요 지표를 대상 대학과 전문대학과 비교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전국 전문대학 응급구조과의 대학정보공시의 주요 지표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전문대학 중 전국에 응급구조과가 개설된 24개 대학과 응급구조과이며, 대학알리미(https://www.academyinfo.go.kr/pubinfo/ pubinfo0081/doInit.do)에 있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정보공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D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 후 심의면제 승인을 받았다(1044371-202003-HR-002-02).

3. 자료수집 방법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대학알리미’ 홈페이지에서 ‘학과 찾기’, ‘상세검색’에서 ‘응급구조과+전문대학+전국’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24개 전문대학과 응급구조과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4. 분석방법

연구 대상인 24개 대학과 전체 전문대학과의 비교는 ‘대학알리미’에서 검색어를 전문대학으로 하여 검색한 후 기능대학, 사이버대학, 폐교대학은 제외시켰으며, 연구대상과 비교한 전체 전문대학 수는 2017년도에 138개 대학, 2018년도에 136개 대학, 2019년도 136개 대학이었다.

응급구조과가 개설된 경북도립대학교 외 23개 대상 대학을 확인하고 각 대학의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개년의 재학생충원율, 정원내재학생충원율, 학생정원기준 교원법정정원, 재학생기준 교원법정정원, 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1인당 학생수, 재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1인당 학생수, 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확보율, 재학생기준 전임교원확보율, 자연과학계열의 전임교원확보율에 대한 지표값을 조사하였다.

응급구조과의 지표값은 3개년의 정원내모집인원, 정원외모집인원, 모집인원, 정원내신입생충원율, 신입생경쟁률, 학생정원, 재학생수(전공심화개설된 대학의 경우 전공심화 학생정원과 재학생수), 정원내재학생수, 전체교원수, 전임교원수, 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현황, 재학생기준 전임교원현황,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 취업률, 전임교원1인당 연구실적, 전임교원1인당 연구비를 대학정보공시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정보공시에는 제시되고 있지 않은 응급구조과의 재학생충원율, 정원내재학생충원율, 학생정원기준 교원법정정원, 재학생기준 교원법정정원, 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1인당 학생수, 재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1인당 학생수, 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확보율, 재학생기준 전임교원확보율의 경우 대학정보공시의 지표 산출식[10]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 1) 학과의 재학생충원율 : 학과 학생정원대비 학과재학생 비율

  • 2) 학과 정원내재학생 충원율 : 학과 정원내학생정원 대비 학과 정원내재학생 비율

  • 3) 학과 학생정원기준 교원법정정원 : 학과 학생정원기준 / 20(대학정보공시기준에 의거 소수점 첫째짜리에서 올림)

  • 4) 학과 재학생기준 교원법정정원 : 학과 정원내학생정원기준 / 20(대학정보공시기준에 의거 소수점 첫째짜리에서 올림)

  • 5) 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1인당 학생수 : 학과 학생정원 / 학과 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

  • 6) 재학생기준 전임교원1인당 학생수 : 학과 재학생 / 학과 재학생기준 전임교원

  • 7) 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확보율 : 학과 학생정원기준 전임교원 / 학과 학생정원기준 교원법정정원 × 100

  • 8) 재학생기준 전임교원확보율 : 학과 재학생기준 전임교원 / 학과 재학생기준 교원법정정원 × 100

응급구조과가 소속 대학에서 차지하는 우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 지표에 대한 산술평균을 구하여 각각의 소속 대학의 지표와 비교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 대학의 일반적인 현황

1) 일반적 현황

연구 대상 24개 대학의 설립구분은 1개 대학(4.2%)이 공립이었으며 사립이 23개 대학(95.8%) 이었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 경북에 4개 대학(16.7%), 전남, 광주, 충북지역에 각각 3개 대학(각각 12.5%), 경남, 경기, 부산, 전북지역에 각각 2개 대학(각각 8.3%), 대전, 제주, 울산 지역에 각각 1개 대학(각각 4.2%)이었다<Table 1>.

Regional distribution of target colleges

대상 대학의 규모는 <Table 2>와 같다. 학생정원은 900 ~ 5,470명 규모였으며, 2,229 ~ 3,316명 범위에 학교의 50%가 있었다. 재학생수는 50%의 학교가 2,471 ~ 3,832명이었다. 전체 교원수는 50% 학교가 226 ~ 379명이었다. 전임교원수는 28 ~ 163명으로 50% 학교가 75 ~ 108명이었다.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는 17 ~ 41명이었으며 50% 학교가 34 ~36명이었다.

The size of target colleges

2) 주요지표 현황

전체 전문대학과 연구 대상 대학과의 비교는 <Table 3>과 같다. 응급구조과가 개설된 대학이 전체 전문대학에서 차지하는 우위를 확인하기 위해 응급구조과가 개설된 대상 대학과 전체 전문대학간 주요지표를 비교하였으며, 대상 대학이 전체전문대학보다 평균이 높은 지표는 재학생 기준 전임교원 확보율,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 취업률이었다.

Comparison of major Indicator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total colleges

2. 응급구조과 현황

1) 학생현황

대상 학과의 학생현황은 <Table 4>과 같다. 정원내 신입생충원율 평균은 98.54% 이었으며, 대부분의 학교에서 100%이었다. 정원내 재학생충원율 평균은 91.83%이었으며 50%의 학과가 90 ~ 97%이었다. 재학생수는 평균 134.79명이었으며 50%의 학과가 102 ~ 155명이었다.

Status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

2) 교육 여건

대상 학과의 교육 여건은 <Table 5>와 같다. 전임교원현황은 평균 3.94명이며,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재학생수기준)는 35.04명, 전임교원 확보율(재학생기준)은 57.85%,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은 52.94%였다.

Educational conditions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3) 교육연구성과와 대학재정

대상 학과의 교육연구성과와 대학재정은 <Table 6>과 같다. 졸업생 취업률은 70.21%였으며,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은 0.1845건,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수혜실적은 1,954.62천원, 재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은 3,513.73천원이었다.

Educational research results and finance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3. 주요지표비교

대상 학과의 대상 대학과 전체전문대학과의 주요지표 비교는 <Table 7>과 같다. 응급구조과가 대상 대학보다 높은 지표는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신입생 경쟁률,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수혜실적, 학생1인당 연간 장학금 수혜실적이었다. 이중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신입생 경쟁률,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 학생1인당 연간 장학금 수혜실적은 전체 전문대학 평균보다도 높았다.

Comparison of major indicators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Ⅳ. 고 찰

대학정보공시제는 대학교육에 대한 국민의 알권리 보장, 학술과 정책연구 진흥 및 학교 교육에 대한 참여와 교육행정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대학의 정보를 정보수요자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거나 제공하는 제도이다. 현재까지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를 통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대학에서는 정보자료의 정확도와 신뢰도 확보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고 그 결과 최근 정보공시자료 입력 오류가 대폭 감소하였고 정보의 활용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학생 현황, 교육/연구성과, 대학재정/교육비, 교육여건, 대학운영 등 대학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을 대학알리미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7,8].

사회적 요구를 실현하고 경쟁력있는 학과로 남기위해서 응급구조과의 학과 경쟁력을 제고해 보기 위해 응급구조과의 현재 상황을 직시하고자 본 연구는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24개 전문대학의 설립구분은 1개 대학(4.2%)이 공립이었으며 사립이 23개 대학(95.8%)이었다. 2021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구분하고 있는데 본 연구결과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은 2곳이었으며 21개 대학이 비수도권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외부 평가에서 요구하고 있는 정량지표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2020년도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에서 정량지표는 12개 평가요소에 총 14개로 구성된다. 여기에 포함되는 정량지표는 전공강좌당 학생수, 학생1인당 실험실습비, 신입생충원율, 재학생충원율, 성적분포 비율, 취업률, 장학금지급비율, 학생1인당 자료구입비, 전임교원확보율,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등록금대비 교원 인건비 비율, 등록금 대비 직원 인건비 비율, 교육비 환원율, 교사확보율 등이다. 이중 자료출처가 대학정보공시인 정량지표는 신입생충원율, 재학생충원율, 성적분포 비율, 취업률, 장학금지급비율, 전임교원확보율,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등록금대비 교원 인건비 비율, 등록금 대비 직원 인건비 비율, 교사확보율 등이다[18,19].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의 정량지표중 본 연구에 포함된 정량지표별 요구수준은 신입생충원율은 91.0% 이상, 재학생충원율은 80.0% 이상, 건강보험 및 국세DB 연계취업률은 전체 60.0% 이상, 전임교원확보율은 50.0% 이상,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은 0.2건 이상이다[18].

본 연구결과에서 응급구조과의 정원내 신입생충원율은 98.54%이었으며, 정원내 재학생충원율은 91.83%로 나타났다. 전임교원현황은 평균 3.94명이며,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재학생수기준)는 35.04명, 전임교원 확보율(재학생기준)은 57.85%,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은 52.94%로 나타났다. 졸업생 취업률은 70.21%였으며,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은 0.1845건,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수혜실적은 1,954.62천원, 재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은 3,513.73천원이었다.

기관평가인증의 정량지표 요구수준과 비교해보면 본 연구결과의 정량지표는 신입생충원율, 재학생충원율, 취업률, 전임교원확보율은 요구수준을 충족하였으나,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0.1845건으로 요구수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진단지표 중 신입생·재학생 충원율의 비중이 확대되어 대학이 자체 계획에 따른 적정규모화 결과를 진단에 반영할 것이며 2018년 진단 시 13.3%였으나 2021년 진단 시 20%로 확대될 것이다.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진단 지표에 포함된 정량지표는 교원확보율, 교육비 환원율, 총강좌수, 강의규모의 적절성, 비전임교원 담당 학점 대비 강사 담당 학점 비율, 강사보수수준, 신입생충원율, 재학생충원율, 졸업생 취업률, 유지취업률 등이다[12].

2021년 대학기본역량 진단 편람에 의거 본 연구에 포함된 정량지표별 만점수준을 보면, 전임교원확보율의 경우 수도권은 60.259%, 비수도권은 62.182%이며, 신입생충원율의 경우 수도권 99.998%, 비수도권은 97.137%, 재학생충원율의 경우 수도권 93.549%, 비수도권의 경우 88.948%이다[12].

본 연구결과의 정량지표를 2021년 대학 기본역량진단의 만점기준과 비교해보면 전임교원 확보율에서 만점기준에 미달하였다. 각 대학에서는 핵심역량기반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통한 경쟁력강화를 위해서는 대학교육의 질이 교수의 강의능력과 연구능력, 학생의 학습능력에 근간을 두고 있으므로 학생의 학습 역량 뿐 아니라 교수 활동의 주체자인 교수의 역량 또한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중요한 변수이며[20] 기본적으로 전임교원의 확보가 필수적이므로 대학 차원에서의 의지와 지원이 중요하다.

최근 3년간 정부의 대학구조조정과 맞물린 교육역량강화사업,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및 학자금대출제한대학 선정, 대학기관평가인증 및 대학구조개혁평가 등과 관련하여 교육성과 중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성과지표는 대학의 취업률이다[20]. 연구 결과 응급구조과의 3개년 평균 취업률은 70.21%로 전체 전문대학 평균인 70.3%와 소속 대학의 평균인 72.24%보다 낮았다. 특히 응급구조과의 년도별 취업률 평균은 2017년에 74.24%, 2018년에 67.43%, 2018년에 68.96%였다. 사립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한 연구[21]에서 대학의 특성과 교육여건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 분석 결과를 보면 대학규모, 학생1인당 교육비, 평균등록금 금액이 재학생충원율과 취업률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취업률이 모든 외부평가에서 교육성과에 들어가는 만큼 학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률을 높을 수 있는 전문대학을 위한 취업연계형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실용 위주 전공의 특성화, 현장실습 및 인턴십 활성화, 창업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22] 등의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 결과 응급구조과가 대상 대학보다 높은 지표는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신입생 경쟁율,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수혜실적, 학생1인당 연간 장학금 수혜실적으로 나타났다. 이중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신입생 경쟁률,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 학생1인당 연간 장학금 수혜실적은 전체 전문대학 평균보다도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응급구조과는 정량지표에서 대상 대학보다는 높은 수치를 보이나 전임교원 확보율과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에서는 다소 부족한 지표값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응급구조과의 현재 상황을 직시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정량지표를 가지고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는 없는 실정이므로 향후 응급구조과의 현재 위치 및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도출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사회적 요구를 실현하고 경쟁력 있는 학과로 남기위해서 응급구조과의 학과 경쟁력을 제고해보고, 대학의 대응전략을 확인하기 위해 교육부 대학정보공시센터의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정보공시 항목의 자료를 수집하여 주요 정량지표를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여 응급구조과의 현실을 직시하고 발전방안 모색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응급구조과가 개설된 24개 대학과 응급구조과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로, 대학정보공시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학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2017년에서 2019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정보공시제도에 따른 평가지표에 대한 공시결과를 취합하여 학과와 대학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신입생충원율, 재학생충원율, 전임교원확보율 등을 포함한 학과 주요지표와 각종 외부평가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학과의 학생현황은 정원내 신입생충원율은 98.54%였으며, 정원내 재학생충원율은 91.83%였다. 대상 학과의 교육 여건은 전임교원현황은 평균 3.94명이며,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재학생수기준)는 35.04명, 전임교원 확보율(재학생기준)은 57.85%,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은 52.94%였다. 대상 학과의 교육연구성과와 대학재정의 경우 졸업생 취업율은 70.21%였으며,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은 0.1845건,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수혜실적은 1,954.62천원, 재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은 3,513.73천원이었다. 응급구조과와 대상 대학과 전체전문대학과의 주요지표 비교는 응급구조과가 대상 대학보다 높은 지표는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신입생 경쟁율,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수혜실적, 학생1인당 연간 장학금 수혜실적이었다. 이중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신입생 경쟁율, 정원내 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 학생1인당 연간 장학금 수혜실적은 전체 전문대학 평균보다도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응급구조과는 정량지표에서 대상 대학보다는 높은 수치를 보이나 전임교원 확보율,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과 취업률에서는 다소 부족한 지표값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구조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차원과 학과 차원에서 부족한 지표를 올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Koo JH, Cho CY.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s in the co-operative universities for oper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J Korean BIBBLIA Soc Library Inform Sci 2018;29(2):169–9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2.169.
2. Park JS. Research on the efficiency of th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0;
3.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center of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6 report on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operating.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6;
4. Higher education in Korea. What is higher education in Korea service? Available at:https://www.academyinfo.go.kr/intro/intro0300/intro.do.
5. Jo CY. A study on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s in Korea:analyzing co-operative universities for oper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2018. Daejeon, Korea:
6. Jung SW. Major contents and problem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Act and the enforcement ordinance. The Korea society for education law 49th Annual Academic Conference 2008;:23–41.
7. Jee JO.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related to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pera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Seoul, Korea:
8. Oh EJ. Analysis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f higher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3):363–72.
9. Ahn SD. 2014 Survey research on the information users of the Alimi System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4;
10. Higher Education in Korea. 2019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Forms and Guidelines (for colleges) Available at:https://www.academyinfo.go.kr/brd/brd0520/selectDetail.do?ntce_sntc_sno=90&bbs_gubun=rfbr&no=89#none, 2019.
11.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Higher Education Act Available at: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2067#0000, 2020.
1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University Competency Diagnosis Center. 2021 Manual of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Available at:http://uce.kedi.re.kr/boardView.do?bbs_id=3&id=101.
13. Choe JI, Moon MJ. University responses to the universities reorganization evaluation policy. Korean J Local Government Studies 2007;21(2):305–23. https://doi.org/10.20484/klog.21.2.13.
14. Kim SY, Kim HS, Kim MJ, Park SY, Han DH. The explanatory material book about college evaluation indicators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2017;
15. Jung DB.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junior colleges in Korea:the relative efficiency using delphi/AHP/DEA hybrid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11. Seoul, Korea:
16. Han SH. Characteristic analysis using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5. Daejeon, Korea:
17. Professor council for nationwid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2019 winter training materials book 2019
18. 2020 College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Evaluator Checklist. Korea Accreditation Board for Vocational Higher Education Available at:http://www.kave.or.kr/.
19. Lee JH, Yang DR, Choi S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ifferences.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2015;5(3):109–31.
20. Ku KH. Development of the diagnostic scale of teaching competency and need analysis :a study on the professors of P University. J Education Cult (JOEC) 2020;26(2):99–128.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99.
21. Noh MH.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based educational indicators and influential relations among private junior colleges. J Vocat Educ Res 2013;27(5):25–51.
22. Lee DW, Oh IH.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college using DEA. Innovation Studies 2020;15(1):139–70. https://doi.org/10.46251/INNOS.2020.02.15.1.13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Regional distribution of target colleges

Region College No. %
Gyeongbuk 4 16.7

Jeonnam 3 12.5

Gwangju 3 12.5

Chungbuk 3 12.5

Gyeongnam 2 8.3

Gyeonggi 2 8.3

Busan 2 8.3

Jeonbuk 2 8.3

Daejeon 1 4.2

Jeju 1 4.2

Ulsan 1 4.2

Total 24 100

Table 2

The size of target colleges

Minimum Maximum Median Top 25% Bottom 25% Average
Student quota 900 5,470 2,780 3,316 2,229 3,027.36

No. of continuing students 825 6,141 2,984 3,832 2,471 3,280.63

No. of total faculty 93 551 266.5 379 226 300.22

No. of faculty in full service 28 163 88.5 108 75 94.68

No. of students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basis of continuing students) 17 41 34.75 36 34 33.76

Table 3

Comparison of major Indicator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total colleges

colleges 2017 2018 2019 Average

Total Target Total Target Total Target Total Target
No. of colleges 138 24 136 24 136 24 - -

Rate of levy with new students within the quota(%) 95.31 93.95 95.89 94.26 95.5 95.23 95.57 94.48

Acceptance rate of new students(%) 7.54 6.1 7.76 6.29 8.22 7.08 7.84 6.49

Rate of levy with enrolled students within the quota(%) 89.71 88.23 90.54 88.68 90.96 89.37 90.40 88.76

Rate of faculty in full service: basis of enrolled students(%) 63.47 64.83 62.7 64.67 62.0 62.05 62.72 63.85

Rate of lectures conducted by faculty in full service(%) 47.1 49.91 47 48.89 50.6 51.48 48.23 50.09

Employment rate(%) 70.4 72.71 69.5 71.15 71.0 72.85 70.3 72.24

Research performance of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 0.2428 0.2328 0.2273 0.2123 0.2222 0.1961 0.2308 0.2137

Performance of research funds of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1,000 won) 3,476.39 2,173.37 3,454.53 1,377.76 3,224.7 2,201.72 3,385.20 1917.62

Annual scholarships per person(1,000 won) 3,309.57 3,195.4 3,429.93 3,337.86 3,453.35 3,453.70 3,397.61 3,328.99

Table 4

Status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

Whole three years Average by year Average Average

Minimum Maximum Median Top 25% Bottom 25% 2017 2018 2019
Rate of levy with new students within the quota 57.5 100 100 100 100 99.06 98.23 98.33 98.54

Rate of levy with enrolled students within the quota 56 105.8 94.14 97 90 92.44 91.86 91.20 91.83

No. of enrolled students 48 227 130 155 102 132 136.5 135.88 134.79

Table 5

Educational conditions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Whole three years Average by year Average

Minimum Maximum 2017 2018 2019
Status of faculty in full service 2 8 3.92 3.96 3.96 3.94

No. of students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 19 64 35.25 35.58 34.27 35.04

Rate of faculty in full service 25 100 58.67 57.19 57.70 57.85

Rate of lectures conducted by faculty in full service 11 88 52.06 52.08 54.70 52.94

Table 6

Educational research results and finance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Whole three years Average by year Average

minimum maximum 2017 2018 2019
Employment rate(%) 42 91 74.24 67.43 68.96 70.21

Research performance of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 0 1 0.2154 0.1903 0.1477 0.1845

Performance of research funds of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1,000won) 0 44,959 2,634.42 2,118.76 1,111.04 1,954.62

Annual scholarships per person(1,000won) 1,647 5,673 3,443.06 3,498.95 3,599.18 3,513.73

Table 7

Comparison of major indicators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Average

Total college Target colleg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Rate of levy with new students within the quota(%) 95.57 94.48 98.54

Acceptance rate of new students 7.84 6.49 12.40

Rate of levy with enrolled students within the quota(%) 90.40 88.76 91.83

Rate of faculty in full service(%) 62.72 63.85 57.85

Rate of lectures conducted by faculty in full service(%) 48.23 50.09 52.94

Employment rate(%) 70.3 72.24 70.21

Research performance of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 0.2308 0.2137 0.1845

Performance of research funds of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1,000won) 3,385.20 1917.62 1,954.62

Performance of research funds of per one faculty in full service(1,000won) 3,397.61 3,328.99 3,513.73